푸틴·젤렌스키와 대화 추진… 김정은과 협상 가능성 시사

제 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산 장거리 미사일 사용 허용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며, 이를 “북한 군인의 개입을 초래한 큰 실수”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과 대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끔찍한 대학살”이라며 전쟁을 멈추기 위해 볼로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전쟁을 끝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 사용을 승인한 것에 대해 트럼프는 “아주 멍청한 결정”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그는 “러시아까지 미사일을 발사하게 만든 것은 나쁜 일이며, 결국 북한 군인을 불러들였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 국방부는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투에 참여했고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트럼프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김정은과 나는 잘 지내는 사이”라며 “그가 제대로 상대해 본 사람은 나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김정은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과 관계 개선을 시도했던 전례를 떠올리게 한다. 트럼프는 차기 행정부 준비 과정에서 리처드 그리넬을 대통령 특사로 임명해 북한 등 글로벌 현안을 다룰 준비를 하고 있다.

또한 트럼프는 대선 승리 후 100개 이상의 국가 지도자들과 대화를 나눴다며 국제적 협력 의지를 밝혔다. 그는 캐나다, 프랑스, 우크라이나 등의 정상과 대화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포함한 주요 국가 정상들에게 취임식 초청장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다만 푸틴과의 직접 대화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며 “진짜 대화는 2025년 1월 20일 이후에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