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스미레 두 여전사 승리 ‘웃음’… 16강에 한국 11명 진출

(MHN 엄민용 선임기자) LG배가 16강전부터 후끈 달아오르게 됐다.
19일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리조트에서 열린 제30회 LG배 기왕전 1라운드에서 두 명의 여전사가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바둑 여제’ 최정 9단은 심재익 7단을 무릎 꿇렸고, 대회 최연소 참가자 스미레 4단은 최고령 출전자인 일본 왕리청 9단을 돌려세웠다. 최정 9단은 심 7단과의 대국에서 초반부터 반상의 주도권을 틀어쥔 뒤 깔끔하게 승리를 닦아 갔다. 스미레 4단은 초반에서는 다소 밀리는 듯했으나 후반으로 가면서 집중력을 발휘해 역전승을 거뒀다.


이날 대국 중 바둑팬들로부터 큰 관심을 모은 이창호 9단 대 강동윤 9단의 대결에서는 강 9단이 웃었다. 강 9단은 초반 한때 위기를 맞는 듯했으나 이내 분위기를 반전시키며 무난히 승리했다. 바둑에서 세월이 젊음을 극복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 한 판이었다. 또 한 명의 ‘왕년의 챔피언’ 유창혁 9단도 ‘젊은’ 안국현 9단의 벽에 막혔다.

이 밖에 이날 대국에서는 김범서 5단이 일본의 쉬자위안 9단을. 황재연 6단이 문민종 8단을 꺾고 16강 진출을 신고했다. 하지만 안성준 9단은 일본의 장쉬 9단에게, 이원도 9단은 대만의 저우쥔쉰 9단에게 불의의 일격을 맞으며 이번 대회의 일정을 모두 마쳤다.

1라운드가 끝난 후 진행된 16강 대진 추첨에서는 이번 대회 최고의 빅매치가 성사됐다. 영광스러운 30회 대회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히는 신진서 9단과 박정환 9단이 외나무 다리 승부를 펼치게 된 것. 둘 중 하나는 자신들의 각오보다 일찌감치 우승을 향한 행보를 접을 수밖에 없다.
이 외에 김범서 5단은 일본의 이치리키 료 9단, 강동윤 9단은 일본의 이야마 유타 9단, 설현준 9단은 황재연 6단, 스미레 4단은 쉬하오훙 9단(대만), 최정 9단은 안국현 9단, 변상일 9단은 저우쥔쉰 9단(대만), 신민준 9단은 장쉬 9단(일본)과 8강행을 다툰다. 이들의 16강전은 20일 하루를 쉬고 21일 오전 10시 시작된다.

조선일보사가 주최하고 ㈜LG가 후원하는 제30회 LG배 기왕전의 우승상금은 3억 원(준우승 상금 1억 원)이며, 제한시간은 각자 3시간에 40초 초읽기 5회가 주어진다.
사진=곤지암에서 MHN 엄민용 선임기자
추천 뉴스
- 1 LG배 기왕전 개막 팡파르…신진서·박정환 등 한국 우승 유력 (MHN 엄민용 선임기자) 1996년 출범한 이후 세계 바둑사에 굵직한 족적을 남겨 온 LG배 기왕전이 30번째 대회 개막을 알렸다. 18일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리조트에서 제30회 대회 개막식을 열고 우승을 향한 본격적인 승부에 돌입했다.이날 개막식에는 주최사 조선일보사 박은호 문화사업단장을 비롯해 양재호 한국기원 사무총장, 김수준 일본 선수단장, 저우커핑 대만 선수단장, 홍민표 국가대표 감독, 한종진 한국프로기사협회장과 출전 선수 및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해 대회 개막을 축하했다.이 자리에서 박 단장은 인사말을 통해 “LG배
- 2 ‘최강의 창’ 유창혁, ‘최고의 방패’ 이창호 뚫었다 (MNH 엄민용 선임기자) ‘최강의 창이 최고의 방패를 뚫었다.’과거 막강한 공격력으로 세계 바둑계를 호령했던 ‘일지매’ 유창혁 9단이 정확한 계산력으로 세계 바둑계를 평정했던 ‘신산’ 이창호 9단을 꺾고 제12기 대주배 남녀 프로시니어 최강자전 우승을 차지했다. 16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K바둑 스튜디오에서 열린 대주배 결승전에서 유창혁 9단이 이창호 9단에게 267수 만에 흑 불계승을 거둔 것. 이 승리로 유창혁 9단은 이 대회 통산 두 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반면 대주배 첫 우승에 도전했던 이창호 9단은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
- 3 최정, 김은지 꺾고 ‘바둑 여제’ 건재 과시 (MHN 엄민용 선임기자) “은지야. 아직은 안 돼!”여자 최고기사 자리를 놓고 벌인 랭킹 1·2위의 싸움에서 2위 최정 9단이 마지막에 웃음을 지었다. 삼판양승의 대결에서 첫 판을 내주고도 내리 두 판을 따내며 극적으로 역적 우승을 차지했다.15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K바둑 스튜디오에서 열린 ‘2025 닥터지 여자최고기사 결정전’ 결승 3번기 최종국에서 최정 9단이 김은지 9단에게 267수 만에 흑 불계승을 거두며 종합전적 2-1로 우승컵에 입술을 맞췄다. 최정 9단은 지난 12일 열린 1국에서 패했으나 14일 치른 2국에서 이겨
- 4 최정, 김은지 꺾고 ‘닥터지배’ 우승 향방 원점으로 되돌려 (MHN 엄민용 선임기자) “은지야, 아직은 안 돼!”여자 랭킹 1위 김은지 9단과 2위 최정 9단이 맞붙은 ‘2025 닥터지 여자최고기사 결정전’ 결승 3번기가 또다시 최종국 승부로 향하게 됐다.14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K바둑 스튜디오에서 열린 결승 3번기 2국에서 최정 9단은 김은지 9단에게 209수 만에 흑 불계승을 거두며 승부를 1대1 원점으로 돌렸다. 지난 12일 열린 1국에서 치명적인 실수로 승리를 헌납했던 최정 9단은 이날 대국에서는 빈틈 없는 내용을 보여주며 반격에 성공했다. 이날 승리로 상대 전적에서도 17승 7패
- 5 ‘최고의 방패’ 이창호 VS ‘최강의 창’ 유창혁 우승컵 놓고 재격돌 (MHN 엄민용 선임기자) ‘세계 최고의 방패’와 ‘세계 최강의 창’이 다시 결승 무대에서 격돌한다.‘돌부처’ 이창호 9단과 ‘일지매’ 유창혁 9단이 제12기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 최강자전 결승에서 맞붙는다. 한때 한국 바둑을 넘어 세계 바둑을 양분했던 두 사람이 이 대회 결승에서 맞붙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유창혁 9단은 두 차례 결승에 올라 한 차례 우승을 맛본 반면 이창호 9단이 처음 결승 무대를 밟은 까닭이다. 그동안 이창호 9단의 이 대회 최고 성적은 16강이었다.9일 경기도 성남시 K바둑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12
- 6 ‘야전사령관’ 서봉수, 통산 1800승 위업 (MHN 엄민용 선임기자) ‘야전사령관’ ‘된장 바둑’ ‘잡초 바둑’ 등 많은 별명을 가진 서봉수 9단이 통산 1800승의 금자탑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서봉수 9단은 지난 2일 경기도 성남시 K바둑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12기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 최강자전 8강전에서 김혜민 9단을 맞아 357수까지 가는 접전 끝에 흑으로 1집반승을 거두며 통산 1800번째 승리를 기록했다. 조훈현 9단(2009년 4월)과 이창호 9단(2021년 2월)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나온 1800승이다.1970년 9월 입단한 서봉수 9단은 같은 해 10월
- 7 영림프라임창호, KB바둑리그 무결점 통합우승 브라보~ (MHN 엄민용 선임기자) 올시즌 바둑리그 정규시즌 1위를 내달린 영림프라임창호가 4일 챔피언 결정전 2차전에서도 승리하며 통합 우승의 쾌거를 이뤘다. 바둑리그에서 나온 역대 3번째 ‘창단 첫해 통합 우승’이기도 하다.정규시즌에서 4위를 차지하며 포스트시즌에 턱걸이로 합류했지만, 이후 파죽지세로 챔피언 결정전에 오른 마한의 심장 영암을 맞아 전날 챔피언 결정전 1차전에서 3-0 완봉승을 거두며 기선 제압에 성공했던 영림프라임창호는 2차전마저 3-0으로 승리하며 무결점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날 오후 7시 서울 성동구 바둑TV 스튜디오
- 8 ‘최고의 방패’ 이창호, ‘최강의 창’ 유창혁 꺾고 시니어 세계바둑오픈 우승 (MHN 엄민용 선임기자) 세계 최고의 방패 앞에서 세계 최강의 창 끝은 무뎠다.세계 ‘바둑 전설’들의 대격돌에서 ‘신산’ 이창호 9단이 최후의 승자가 됐다. 이창호 9단은 16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바둑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1회 블리츠자산운용 시니어 세계바둑오픈 결승전에서 ‘세계 최강의 공격수’로 불리던 유창혁 9단을 맞아 304수까지 가는 접전 끝에 흑으로 2집반을 남기며 초대 우승의 주인공이 됐다.이날 대국 초반에는 ‘일지매’ 유창혁 9단의 공격이 통했다. 첫 전투부터 잘 풀어 간 유창혁 9단은 중반에 들어서기 전까지 국
- 9 “목표는 우승이다” …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포스트시즌 돌입 (MHN스포츠 엄민용 선임기자) “당연히 목표는 우승입니다.”2024~2025시즌 KB국민은행 바둑리그가 치열했던 정규리그를 끝내고 ‘최후의 승자’를 가릴 포스트시즌에 돌입한다. 이에 앞서 7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대회장에서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미디어데이’가 열렸다.이 자리에는 정규리그 1위에 오른 영림프라임창호의 박정상 감독과 주장 강동윤 9단을 비롯해 2위인 원익의 이희성 감독과 박정환 9단, 3위 수려한합천의 고근태 감독과 김명훈 9단, 4위 마한의 심장 영암의 한해원 감독과 안성준 9단이 참석해 우승을
- 10 한국바둑에 떨어진 ‘투샤오위 경계령’…신진서·박정환도 무릎 (MHN스포츠 엄민용 선임기자) 한국 바둑에 ‘투샤오위 경계령’이 떨어졌다. 현존 세계 1인자 신진서 9단을 위협할 차세대 도전세력의 선두주자로 중국 투샤오위 9단이 급부상하고 있는 것.2003년생으로 2000년생인 신진서 9단보다 세 살 어린 투샤오위 9단은 일찌감치 중국 최강그룹에 합류하며 신진서 9단을 위협할 최대의 복병으로 손꼽혀 왔다. 그 ‘두려움’이 한·중·일·대만 최고기사 9명이 펼치는 제1회 쏘팔코사놀 세계 최고기사 결정전 1차전에서 어슴푸레하게 윤곽을 드러냈다. 투샤오위 9단은 아직 속단하기에는 이르지만, 두려움을
- 11 중국 커제가 차 버린 기회 당이페이가 잡았다…쏘팔코사놀 세계대회 개막 팡파르 (MHN스포츠 엄민용 선임기자) 쏘팔코사놀 세계 최고기사 결정전이 모든 준비를 마치고 마침내 첫 대회의 시작을 알린다.쏘팔코사놀 세계 최고기사 결정전은 지난 2월 제1회 대회의 서막을 올리려 했다. 하지만 앞서 벌어진 LG배 세계기왕전 결승전에서 중국의 커제 9단이 반칙패를 당한 것에 항의하며 중국이 선수단 참가를 막아서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다. 특히 후원사가 지명하는 와일드카드를 받은 커제 9단이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은 채 한국 바둑계를 비난하며 대회 불참을 통보해 와 대회 진행 여부가 불투명해지기까지 했다.하지만 한국기원이
- 12 “바둑이 얼마나 재미있는데요~”…‘신안 이세돌배’ 유쾌한 마무리 (MHN스포츠 엄민용 선임기자) 22일과 23일 양일간 ‘이세돌의 고향’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열린 ‘제4회 신안 이세돌배 전국바둑대회’에서 아마 강자 최우수 선수가 자신의 이름에 걸맞게 전국최강부의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22일 4연승을 거둔 최우수 선수는 23일 결승에서 또 다른 전승자 김사우 선수마저 비교적 손쉽게 제압했다. 초반 기선 제압에 성공한 최우수 선수는 이후 반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완승을 거뒀다. 이날 함께 열린 전국시니어·여성부 결승에서는 전날 3연승을 거둔 온승훈 선수가 또 다른 3연승자 김희중 선수에게 역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