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변명하는 자리 아냐"
"당정 소통 강화한다"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민들에게 사과하며 인사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민들에게 사과하며 인사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MHN스포츠 이준 기자) 국민들 앞에 나온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는 여러 의혹에 대한 변명이 아닌 사과로 시작해 사과로 끝났다. 4대 개혁에 대한 포부와 함께 당정 소통 확대에 대해 강조하기도 했다. 

7일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대국민담화에서 "대통령은 변명하는 자리가 아니다"라며 "모든 것이 제 불찰.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린다"며 운을 띄웠다.

윤 대통령은 "(임기 초반) 나라 상황이 힘든 것은 알고 있었으나, 모든 여건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어렵다"며 "팬데믹의 여파는 지속되고 있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원유와 식자재는 치솟았고, 고금리와 고물가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 임기를 마치는 그 날까지 늘 초심으로 돌아가서 매사를 시작하는 마음으로 하겠다"며 "근본적인 생계비 부담을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의료개혁은 꼼꼼하고 차분하게 해나가겠다"며 "연금개혁은 단일 개혁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조속한 논의가 이루어져 마무리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노동개혁은 "모두의 성장을 위한 구조적인 개혁"이라면서 "차질없이 개혁을 마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불편을 드리는 일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저와 제 정부의 부족한 부분을 잘 알고 있다. 쇄신의 쇄신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당정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제 마음 가짐부터 다시 돌아보면서 더 소통하고 더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