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시장에서 내연기관 SUV 판매 비중 높은 현대차·기아… 그린피스, 전기차 전환 지연이 장기적 탄소중립 목표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 경고.

 

(MHN스포츠 주진노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인도 시장에서 전기차(EV) 판매 속도를 높이지 못하고, 대신 가솔린 엔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량을 늘리면서 양사의 탄소 저감 노력이 역행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14일 로이터는 그린피스동아시아의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그린피스동아시아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유럽과 한국 등 주요 시장에서 차량 한 대당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같은 기간 인도 등 최소 7개 시장에서는 오히려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글로벌 전체 시장에서의 ‘탈탄소화’ 전략이 균형 있게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는 세계 3위의 자동차 시장으로, 현대차와 기아는 이곳에서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는 두 기업에 있어 네 번째로 큰 시장으로,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 법인을 상장했고 올해 9월 새 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는 와중에도 전기차 판매 확대가 더딘 탓에, 내연기관차 중심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탄소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현대차는 현재 인도에서 6종의 SUV 모델을 판매하며, 그중 전기차 모델은 1종에 불과하다. 이는 시장 1위 마루티 스즈키(MRTI.NS)의 SUV 모델 수와 같지만, 현대차·기아 판매량 중 SUV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3분의 2에 달해 마루티 스즈키(약 40%)보다 훨씬 높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동아시아는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화 전략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대형 SUV 판매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인도 전기차 시장이 초기 단계인 만큼 높은 구매 비용, 충전 인프라 부족, 주행 거리 불안 등 과제가 많다”며 “현대차와 기아가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다만 현대차·기아는 현재 수입 전기차를 일부 판매 중이어서, 아직 인도에서 전기차 출시를 시작하지 않은 폭스바겐(VOWG_p.DE), 르노(RENA.PA), 도요타(7203.T) 등에 비해서는 앞선다는 평가도 나온다.

현대차는 조만간 인도 현지 생산 전기 SUV 모델인 ‘크레타(Creta) EV’를 공개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추가로 4종의 전기차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기아 역시 올해 첫 현지 생산 전기차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인도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 중 전기차 비중을 3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그린피스동아시아는 과거에도 도요타·폭스바겐 등 여러 완성차 기업의 ‘탈탄소화’ 행보에 대해 비판해 왔으며, 현대차·기아 역시 인도 시장에서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매출을 확대할 경우 중장기적인 탄소중립 실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참고기사: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hyundais-slow-ev-ramp-up-india-hurts-its-decarbonisation-efforts-greenpeace-says-2025-01-14/

 

Image: Yonhap News via Reuters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