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브렌트유 급등, 러시아산 원유 제재로 인한 공급 우려
지난해 8월 WTI 배럴당 74.83달러 이후 5개월 만에 최고치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국제유가가 미국의 러시아 석유산업 제재 강화에 따른 공급 감소 우려로 뉴욕 시장에서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급등했다.
13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은 전날보다 2.25달러(2.94%) 상승한 배럴당 78.82달러로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도 3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이 1.25달러(1.56%) 오른 배럴당 81.01달러를 기록하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 10일 러시아 주요 석유 기업 및 수출망에 대한 대대적인 제재를 발표했다. 제재 대상에는 가즈프롬 네프트와 수르구트네프테가스를 포함해 약 180척의 유조선과 러시아 에너지 관련 기관들이 포함됐다.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는 러시아의 석유 수익 차단을 목표로 제재를 단행했으며, 이는 러시아 해상 수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가즈프롬 네프트와 수르구트네프테가스는 지난해 하루 약 97만 배럴의 석유를 수출했으며 이는 미국 유조선 물동량의 약 30%에 해당한다.
UBS 애널리스트는 이번 제재가 러시아 원유 수출량에 타격을 주고 국제유가 상승세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반면, 일각에선 원유시장의 기술적 과매수 상태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제재 철회 가능성을 지적하며, 상승세가 단기에 그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한편, 인도와 중국의 정유업체들은 러시아산 원유를 대체하기 위해 중동 등 다른 공급원을 찾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챗GPT
추천 뉴스
- 1 나스닥 1.19% 하락…연말 차익 실현 매도세 확산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올해 마지막 거래일을 하루 앞두고 주요 지수들이 일제히 하락세를 기록하며 연말 투자 심리가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30일(현지시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8.48포인트(0.97%) 하락한 4만2573.73을 기록했고, S&P 500 지수는 63.9포인트(1.07%) 내린 5906.94로 마감했다. 나스닥 종합지수 역시 235.25포인트(1.19%) 하락하며 1만9486.79를 기록했다. 이는 연말 유동성 부족과 함께 세금 요인, 국채 금리 상승, 오는 2025년 경
- 2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세에 1%대 하락…코스닥 2%대 급락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코스피 지수가 20일 외국인과 기관의 대규모 매도세에 2400선을 겨우 지키며 1%대 하락으로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 역시 2% 가까이 급락하며 동반 하락세를 기록했다.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이날 2429.63으로 개장했으나 하락세로 돌아서며 오후 1시 10분 기준 2397.94를 기록해 전 거래일 대비 1.56% 하락했고, 최종적으로 1.30% 하락한 2404.15로 마감했다.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5367억 원, 기관은 1980억 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 3 나스닥 하락하며 혼조 마감…다우지수 10연속 하락서 탈출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뉴욕증시가 19일(현지시간) 연속 하락세에서 벗어나며 진정세를 보였지만,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는 여전히 시장을 지배하며 혼조세로 거래를 마무리했다.이날 다우존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37포인트(0.04%) 상승한 42,342.24를 기록하며 10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끝냈다. 이는 1974년 이후 최장기간 하락 기록에서 벗어난 것이다. 반면 S&P500 지수는 5.08포인트(0.09%) 하락한 5,867.08, 나스닥지수는 19.92포인트(0.1%) 내린 19,372.77로 마감되며 주요 지수
- 4 파월의 ‘매파’ 발언에 뉴욕 증시 급락 마감… 50년 만에 최장기간 하락 (MHN스포츠 강민서 인턴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의 ‘매파(긴축 선호)’적 발언의 결과, 투자 심리가 찬물을 맞아 뉴욕증시가 급락 마감했다.우량주 그룹 다우지수는 장 초반, 9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끊고 반등에 성공하는 듯했으나 통화정책 회의 결과가 나온 후 변동성이 커지면서 10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1974년 10월(11거래일 연속 하락) 이후 최장기간 하락이다.3대 지수 동반 상승 기대는 무산됐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123.0
- 5 비트코인, 10만 8200달러로 사상 최고가…이후 큰 하락 보여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 시세가 10만4213달러를 기록하며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은 한때 신고가인 10만8266달러까지 상승했지만, 오후 4시 46분 기준으론 10만4213달러까지 하락하며 변동성을 보였다. 이는 전일 대비 2.61% 하락한 수치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비트코인의 고점 유지에 주목하고 있다.최근 비트코인의 상승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암호화폐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 6 '어디까지 올라가는거에요?'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10만7700달러 돌파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이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10만7700달러를 돌파했다.16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3시 30분경 10만7756달러를 기록하며 종전 최고가를 넘어선 후, 같은날 오후 2시 52분 기준으로 10만6643달러를 기록했다.비트코인은 지난 5일 10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이후 9만 달러 선까지 하락했지만, 산타 랠리 영향으로 다시 급등세를 보였다.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0년간 크리스마스 직전 주에 평균 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 7 10만 돌파 비트코인...다시 조정 국면으로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10만 달러를 돌파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해 다시 10만 달러 밑으로 내려갔다.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 10일 오전 10시 15분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3.19% 하락한 9만720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기준 최고인 10만387달러에서 하락한 수치이다.미국 증시 3대 지수인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종합지수가 모두 하락하며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줄어들어 조정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S&P 500은 전일 대비 0.61%가, 다우존스는 0.54%가, 나스닥종합지수
- 8 '시총 1위 내준' 엔비디아, 주가 4%↓...미국 3대 지수는↑ (MHN스포츠 이준 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재무장관에 스콧 베센트를 낙점하면서 3대 지수(다우·S&P500·나스닥)가 오른 반면, 나스닥 시가총액 1위였던 '엔비디아'는 전 거래일 대비 4.18% 하락 마감했다. 미국 정부가 중국을 겨냥한 반도체 수출 제한 조처를 발표할 예정이라는 소문이 돌자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25일(현지시간) 엔비디아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5.93달러가 떨어지며 136.02달러로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3조3311억 달러로 내려가며 같은날 1.31% 상승한 애플(3조5200억 달러)에게 시총 1위 자리를 내
- 9 '트럼프 저택에 있는 개가 10조?'...현대차 '스팟', 나스닥 IPO 기대감 돌아 (MHN스포츠 이준 기자) 현대차그룹의 자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이 나스닥 상장을 거행한다는 소문이 도는 가운데, 자사의 4족 보행 로봇 '스팟'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 자택에서 경호를 맡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주주들의 이목을 끌었다.14일 MHN스포츠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8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트럼프 당선인 자택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을 경호에 투입된 사실을 밝혀냈다.현지 매체에 따르면, 스팟의 본체에는 'DO NOT PET(만지지 마시오)'과 미국 비밀경호국을 뜻하는 'USSS'가
- 10 애플 제친 엔비디아…세계 시총 1위 탈환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엔비디아가 애플을 제치고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등극했다.5일(현지 시간) 나스닥 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가 전 거래일 대비 2.84% 상승한 139.91달러(약 19만 3061원)에 마감했다.시가총액 3조 4,320억 달러를 기록한 엔비디아는 종가 기준으로 처음으로 세계 시총 1위에 올랐다. 2위로 밀려난 애플은 같은 날 0.65% 상승한 223.45달러로 마감했지만, 시총 3조 3,776억 달러로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엔비디아는 올해 인공지능(AI) 칩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주가가 가파르게 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