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변동성 확대…최저 10만3610달러, 최고 10만8266달러 기록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 시세가 10만4213달러를 기록하며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은 한때 신고가인 10만8266달러까지 상승했지만, 오후 4시 46분 기준으론 10만4213달러까지 하락하며 변동성을 보였다. 이는 전일 대비 2.61% 하락한 수치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비트코인의 고점 유지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의 상승 흐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암호화폐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암호화폐 전문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미국 나스닥100 지수에 편입된다는 소식이 투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며 비트코인 가격을 끌어올렸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과 성탄절을 앞둔 ‘산타 랠리’ 또한 비트코인의 상승 동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의 상승 추세가 일시적인 조정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시장 변동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비트코인의 향후 움직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어디까지 올라가는거에요?'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경신…10만7700달러 돌파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이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10만7700달러를 돌파했다.16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3시 30분경 10만7756달러를 기록하며 종전 최고가를 넘어선 후, 같은날 오후 2시 52분 기준으로 10만6643달러를 기록했다.비트코인은 지난 5일 10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이후 9만 달러 선까지 하락했지만, 산타 랠리 영향으로 다시 급등세를 보였다.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지난 10년간 크리스마스 직전 주에 평균 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 2 10만 돌파 비트코인...다시 조정 국면으로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10만 달러를 돌파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해 다시 10만 달러 밑으로 내려갔다.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 10일 오전 10시 15분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3.19% 하락한 9만720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24시간 기준 최고인 10만387달러에서 하락한 수치이다.미국 증시 3대 지수인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종합지수가 모두 하락하며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줄어들어 조정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S&P 500은 전일 대비 0.61%가, 다우존스는 0.54%가, 나스닥종합지수
- 3 트럼프 "코인러들 축하"...비트코인 사상 초유 '10만 달러' 돌파 (MHN스포츠 권오건 인턴기자)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 10만 달러를 달성한 가운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축하의 말을 전하고 있다.지난 4일(현지시간) 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이날 오전 11시 35분 기준 10만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정책 방향을 예고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현지시간 기준 5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코인러들 축하합니다", "우리는 다시 미국을 위대하게 만들 것(MAGA)"이라는
- 4 尹 계엄령 여파, 비트코인 대폭락 후 회복…국내외 가격 차 안정세 (박서인 인턴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큰 충격을 받으며 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8800만 원까지 폭락했으나, 현재는 다시 1억3500만 원 선으로 회복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외 거래소 간 가격 차이도 급격히 벌어졌다가 현재는 역프리미엄 0.5% 수준으로 좁혀졌다.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이 긴급 담화를 통해 계엄령을 선포한 직후, 국내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급격히 하락하며 8800만 원 선까지 떨어졌다. 이는 선포 직전 1억 3200만 원에서 약 30분 만에 4400만 원 이상
- 5 한국 암호화폐 시장에만 나타나는 이것...김치 프리미엄이란?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한국 암호화폐 시장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현상인 ‘김치 프리미엄’은 국내외 암호화폐 가격 차이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현상은 국내 암호화폐가 해외보다 더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으로, 투자자 심리와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김치 프리미엄의 주요 원인으로는 정부가 암호화폐 시장과 외환 거래를 통제하면서 발생한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꼽힌다. 개인은 해외 송금에 연간 10만 달러의 제한을 받고, 법인과 기관의 암호화폐 거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규제는 국내
- 6 '9만9천→9만' 비트코인, 9% 급락…공매도 영향일까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 가격이 최근 사흘 동안 약 9% 하락하며 10만 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23일 최고치인 9만9617달러를 기록한 후, 27일 오전 5시 45분 기준 9만817달러로 8.9% 하락했다. 같은 날 오후 3시에는 다시 반등하여 9만284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이러한 하락세의 주요 원인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미국의 정보기술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에 대한 공매도가 지목됐다. 공매도 전문 헤지펀드인 시트론 리서치는 지난
- 7 '10만 달러 앞에서 멈칫' 비트코인, 9만4000달러대로 하락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며 9만 4000달러대로 내려앉아, 가상화폐 투자 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한국시간 26일 오전 10시 20분 기준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3.33% 하락한 9만4154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최근 유지하던 9만7000달러 선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격 변동성에 대한 경계가 높아지고 있다.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비트코인 시세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금리 동향, 규제 이슈, 그리고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 등
- 8 비트코인 10만 달러 눈앞...과세 유예 두고 정치권 격론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인 10만 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며 전 세계적으로 가상자산 투자 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내년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 과세를 둘러싼 논쟁이 정치권과 투자자 사이에서 뜨겁게 일고 있다.현재 국내에서 예정된 가상자산 과세안은 연간 250만 원을 초과하는 가상자산 소득에 대해 20%의 세율을 부과하는 내용이다. 이는 지난 2022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준비 부족과 시장 혼란 우려로 두 차례 유예되어 내년 1월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하지만 여전히 정치권 내부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