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공장-병원-호텔까지
테슬라 옵티머스는 공장 속 진짜 노동자로
'현실'로 다가온 로봇과의 삶

"엔비디아 vs 테슬라 옵티머스, "현실을 복사해서 예측한다" AI 학습 방법 비교- ②" 에서 이어집니다...

(MHN 이종헌 기자) 로봇 혁명이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에서 적용되고 있다.

엔비디아와 테슬라, 두 혁신 기업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범용 AI 로봇’ 시대를 현실로 만들며, 이미 산업 현장과 일상 곳곳에서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들의 로봇은 지금 어디서,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그리고 앞으로 우리의 삶은 어떻게 바뀔까?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을 들여다본다.

엔비디아 '아이작' 플랫폼을 활용한 물류 로봇
엔비디아 '아이작' 플랫폼을 활용한 물류 로봇

BMW 공장, 엔비디아 AI로봇이 부품을 집고 운반한다

독일 BMW 공장과 뮌헨 물류 실험실에서는 엔비디아의 AI 플랫폼을 탑재한 5종의 로봇(스마트 운송 로봇, 스플릿봇, 플레이스봇, 픽봇, 소트봇)이 실제로 부품을 집고, 분류하고, 컨베이어에 올려놓는다.

특히 픽봇은 복잡하게 쌓인 부품 더미에서 5만 개가 넘는 부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골라내며, 스플릿봇은 450종류의 박스를 자동으로 분류한다.

이 로봇들은 작업자와 지게차 등 장애물을 스스로 인식해 충돌 없이 움직이며, BMW는 23만 개 부품의 물류 투입 과정을 혁신적으로 최적화했다.

엔비디아의 '아이작' 플랫폼을 통해 지멘스의 공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아이작' 플랫폼을 통해 지멘스의 공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있다.

BYD-지멘스, 엔비디아 AI로 공장 효율 30%↑
중국 BYD일렉트로닉스는 엔비디아 아이작 플랫폼을 활용해 자율주행 물류 로봇을 개발, 공장 내 물류 효율을 30% 이상 끌어올렸다.

독일 지멘스는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기술로 산업용 로봇의 작업 정확도를 대폭 개선했다.
이들 기업은 실제 현장에서 엔비디아 AI가 탑재된 로봇이 물품을 옮기고, 조립 라인에서 복잡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모습을 이미 보여주고 있다.

엔비디아의 AI로 메디컬 업무를 수행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엔비디아의 AI로 메디컬 업무를 수행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병원에서도 활약하는 엔비디아 로봇
미국 주요 병원에서는 엔비디아 AI가 탑재된 로봇이 병실 내 환자 상태 모니터링, 침구류 배송, 자동 X-ray 검사와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엔비디아는 문 서지컬 등 의료 로봇 기업과 협력해 AI 기반 수술 보조 로봇도 개발 중이다.

의사들은 실제 수술에 앞서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에서 로봇을 활용해 훈련받을 수 있다.

로봇 스타트업 인트린직의 로봇 앱 플랫폼
로봇 스타트업 인트린직의 로봇 앱 플랫폼

스타트업-개발자, 로봇 앱 개발도 현실로
구글에서 분사한 로봇 스타트업 인트린직(Intrinsic)은 시카고 오토메이트 2024에서 엔비디아의 ‘아이작 매니플레이트’와 ‘아이작 심’을 통합한 로봇 앱 플랫폼을 선보였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코딩을 몰라도 로봇이 특정 품목을 집는 동작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실제 배포 전 시뮬레이션으로 충분히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덕분에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개발팀도 복잡한 로봇 앱을 빠르게 만들고,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호텔에서 청소 업무를 수행중인 Primech AI의 하이트론 청소로봇
호텔에서 청소 업무를 수행중인 Primech AI의 하이트론 청소로봇

서비스업과 일상으로 스며드는 엔비디아 AI

미국-유럽 일부 호텔과 대형 쇼핑몰에서는 엔비디아 AI가 탑재된 안내·청소 로봇이 시범 운영되고 있다.

이 로봇들은 단순히 명령만 따르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상황을 스스로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에 맞춰 행동한다.

카페에서는 음료 서빙, 쇼핑몰에서는 물류 운반, 호텔에서는 객실 청소·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 업무에 실제로 투입되고 있다.

테슬라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 옵티머스, 공장 노동 2026년 계획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는 이미 미국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에서 실전 테스트를 거치며 ‘진짜 일꾼’으로 자리 잡았다.

수백 대의 옵티머스가 자재 이동, 부품 조립, 배터리 셀 분류 및 배송 컨테이너 적재 등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맡고 있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하던 단순 반복, 무거운 물품 운반, 지루하거나 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작업을 옵티머스가 대신한다.

옵티머스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AI를 활용해, 공장 내 복잡한 환경에서도 스스로 경로를 찾고, 장애물을 피해 이동한다.

2025년 말까지 최소 5,000대, 최대 12,000대의 옵티머스가 생산될 예정이며, 2026년에는 외부 기업 판매와 임대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2027년에는 연간 50만~100만 대 생산이라는 대규모 확장 계획도 발표됐다.

장기적으로는 가정 내 청소, 요리, 쓰레기 분리수거, 노인 돌봄 등 일상생활 지원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옵티머스의 대량 보급이 본격화되면, 단순·반복 노동이 빠르게 자동화되고, 인력 부족 문제를 겪는 산업(예: 물류, 제조, 요양 등)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 혁명의 ‘실전’은 이미 시작됐다

엔비디아의 AI는 BMW, BYD, 지멘스, 미국 병원, 글로벌 스타트업, 호텔, 쇼핑몰 등 실제 산업과 서비스 현장에서 부품 분류, 물류 운반, 의료 지원, 서비스업 자동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삶 속’에 들어와 있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공장 현장에서 자재 이동, 부품 조립 등 실제 업무를 수행하며 상용화의 첫 단계를 밟고 있고, 2026년부터는 외부 기업과 다양한 산업 현장,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가정과 서비스업까지 빠르게 확산될 전망이다.

엔비디아와 테슬라의 로봇은 “언젠가”가 아니라, “이미 시작된 변화”다. 앞으로 2~5년 안에 더 많은 산업과 일상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로봇들과 함께 일하고 생활하는 풍경을 직접 마주하게 될 것이다. 

거대한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우리는 이제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실을 직접 살아간다.  다가오는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다.

 

사진= 엔비디아, Primech AI, 테슬라, 옵티머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