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 집값 상승 조짐… 정부, 부동산 시장 동향 면밀히 살핀다

(MHN스포츠 주진노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금융·외환시장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점검할 것을 지시했다.
최 권한대행은 28일 주재한 거시경제금융회의(F4 회의)에서 "최근 금융·외환시장은 미국 거시경제·통상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이 큰 만큼,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유지하라"고 당부했다.
또한, 다음 달 4일 출범하는 대체거래소(ATS)에 대해 "단일거래소 체제가 복수·경쟁체제로 변화하면서 주식 거래시간 확대, 거래 수수료 인하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며 "관계기관이 시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조기에 안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서는 "최근 강남 3구 등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 폭이 확대 조짐을 보이는 만큼, 관계부처 합동으로 시장 동향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라"고 요청했다.
사진 = 연합뉴스 / 기획재정부
추천 뉴스
- 1 서울 아파트값, 2025년 대폭 상승?...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 부족, 전세 가격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 및 대외 경제 변수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2 중국 딥시크발 충격…삼성-SK하이닉스-엔비디아 등 반도체 업계 요동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AI 업계의 경쟁 구도를 흔들며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기존 AI 모델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챗GPT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고 발표하자,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기업의 주가가 급락했다. 이 여파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도 타격을 입었으며, AI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딥시크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R1’이 메타의 라마3와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개발비
- 3 "트럼프 ‘관세 폭탄’ 터지나? 현대차 4조 원 손실 위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한국·독일·일본 자동차 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며, 업계는 최대 4조 원대 손실을 우려하고 있다.
- 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 발표…한국 직접 언급에 대상 포함될 가능성↑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가 큰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한국을 ‘상호주의 교역’에 위배되는 사례로 직접 언급하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교역과 관세’ 각서에 서명하고, 상무부에 국가별 관세율을 새롭게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각국과 개별적으로 협상할 것이며, 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