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준 25%에 육박하는 관세로 수 조 달러의 세수 확보할 요량
유럽 이민자 정책도 비판해

(MHN스포츠 강민서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월 혹은 그보다 빠른 시기에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자동차 관세를 오는 4월 2일쯤 내놓을 것이라는 기존의 발언보다 시점을 더 앞당긴 것으로, 전날에도 자동차·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확인하며 “25%에 근접할 것”이라고 했다. 25%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자동차·반도체 수출이 버팀목 역할을 해온 우리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주최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 이니셔티브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이같이 밝히며 “미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간단히 말해 그들이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관세를 내야 한다는 것"이라며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면 관세를 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가 "우리 재정에 수조 달러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에 유가 안정을 위해 방출했던 전략 비축유를 신속히 채울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한편, 그는 같은 자리에서 자신이 취임한 뒤 불법 이민자 단속 및 추방에서 거둔 성과를 거론하면서 "유럽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도 이민 문제를 들여다보기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불법 이민자 유입은 유럽을 정말로 심하게 해치고 있다"며 "너무 늦기 전에 강경하게 나가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서울 아파트값, 2025년 대폭 상승?...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 부족, 전세 가격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 및 대외 경제 변수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2 중국 딥시크발 충격…삼성-SK하이닉스-엔비디아 등 반도체 업계 요동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AI 업계의 경쟁 구도를 흔들며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기존 AI 모델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챗GPT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고 발표하자,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기업의 주가가 급락했다. 이 여파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도 타격을 입었으며, AI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딥시크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R1’이 메타의 라마3와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개발비
- 3 "트럼프 ‘관세 폭탄’ 터지나? 현대차 4조 원 손실 위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한국·독일·일본 자동차 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며, 업계는 최대 4조 원대 손실을 우려하고 있다.
- 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 발표…한국 직접 언급에 대상 포함될 가능성↑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가 큰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한국을 ‘상호주의 교역’에 위배되는 사례로 직접 언급하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교역과 관세’ 각서에 서명하고, 상무부에 국가별 관세율을 새롭게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각국과 개별적으로 협상할 것이며, 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