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콜롬비아에 관세 위협…9시간 만에 '항복 선언' 받아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미국과 콜롬비아 간의 긴장이 고조되던 '관세 전쟁' 위기가 콜롬비아의 완전한 양보로 종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 추방 협조를 요구하며 강경한 관세 및 제재를 예고했고,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이를 수용하면서 사태는 급속히 진정됐다.

콜롬비아의 굴복, 트럼프의 강경한 협상 스타일 재확인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체포된 콜롬비아 국적의 불법 이민자들을 송환하려 했으나, 페트로 대통령이 보고타 공항 착륙을 거부하며 갈등이 시작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콜롬비아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즉각 부과하고, 1주일 후 50%로 상향하겠다고 경고했다.

추가로 비자 발급 제한, 국경 검문 강화, 금융 제재까지 포함한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면서 "이 조치들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페트로 대통령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지시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앞에 9시간 만에 모든 조건을 수용했다.

미국의 '관세 무기화'와 글로벌 파장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사건으로 관세를 무기로 외교적 성과를 얻는 전략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특히 그는 동맹국이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 대해서도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미국 우선주의'를 실현하고 있다.

콜롬비아는 중남미 주요 동맹국이자 FTA 체결국임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조치 대상에서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이번 사건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동맹국에도 관세 협박을 감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한국 등 다른 FTA 체결국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볼수 있다.

한국도 주목해야 할 트럼프의 관세 전략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부터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100억 달러로 인상과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언급한 바 있다. 

향후 과제와 전망
콜롬비아와의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에도 관세 위협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맹국들에게 방위비 지출 확대를 요구하며 국제사회 전반에 걸쳐 압박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한국을 포함한 미국의 교역 및 방위 동맹국들은 이러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전략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 우선주의'의 강화는 글로벌 경제와 외교 지형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