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전날 주한일본대사관에 의사 전달

26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외교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는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
26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외교부에서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는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

(MHN스포츠 이준 기자)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비화된 한·일 외교 갈등이 일단락 되는 것으로 보인다.

26일 외교부는 기자단에게 보낸 문자 공지에서 주한일본대사관 측에 전날 유감을 표명하며 "이 문제가 더 이상 불필요한 갈등으로 비화하지 않고, 개별 사안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할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 7월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추도식 개최를 한국에 약속했다.

그러나 최근 24일로 예정된 추도식에 일본 정부 측 인사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던 극우 인사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참석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한국 정부는 추도식에 불참하면서 파행을 빚었다. 한국 정부가 참석하지 않은 추도식 추도사에서는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 노동에 대한 언급과 반성에 대한 내용이 빠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5일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였던 '제4상애료'에서 별도로 추도식을 진행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추도식이 열리는 지역과 협력하며 한국 정부와도 정중한 의사소통을 해왔다"면서 "한국 측의 추도식 불참 이유에 관해 설명할 입장은 아니지만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해당 사건을 두고 여야는 단일대오를 형성했다. 곽규택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25일 "윤석열 정부가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큰 목표를 위해 일본의 희생자 추도식과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 등의 약속을 믿고 내린 고심 어린 결정"이라면서도 "이번 추도식에서도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한 사죄나 추모가 없는 '자축' 행사로 만들어 버렸다. 일본이 과거사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26일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우리 정부의 선의를 악의로 되갚았다"며 "일본의 추도사에는 강제동원과 강제징용의 '강제성'에 대한 언급조차 없었다. 심지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인사를 추도식에 대표로 내보내겠다며 논란을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