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프라푸치노, 5900원→6100원
'韓·中·日·美' 스타벅스 중 '2위'로 싸
국내 커피 매장보다도 저렴해

(MHN스포츠 이준 기자) 스타벅스 코리아가 일부 메뉴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해 소비자들의 원성을 산 가운데, 국내 스타벅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9일 MHN스포츠 취재를 종합해보면, 전날 스타벅스 코리아는 오는 11월 1일부터 아이스 음료 11종의 톨(355ml) 사이즈 메뉴 가격을 200원 인상한다고 전했다.
스타벅스 코리아 관계자는 "직·간접 비용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일부 가격을 인상한다"며 "고객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겨울철 수요가 감소하는 아이스 음료로 대상을 결정했고, 가장 작은 사이즈인 톨 사이즈에 한해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부 소비자들은 "너무 비싸다", "집에서 맥심(믹스커피)나 마시련다", "이제 저가형 커피 매장 가야겠다", "불매운동 하자" 라는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아직도 싼 편이다", "다른 카페 생각하면 스타벅스는 가성비다", "맛있어서 난 올려도 간다"라고 옹호하는 소비자도 존재했다.

실제로 본지가 국가별 스타벅스 가격과 국내 커피 프렌차이점 메뉴 가격 등을 비교해본 결과, 스타벅스 가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인상 대상인 스타벅스의 '카라멜 프라푸치노'는 톨 사이즈 기준 한국이 5900원(인상 전 가격)으로 5250원인 일본 다음으로 저렴했다. 4개국 중 가격이 가장 비싼 미국은 8070원이며, 현지 문화인 '팁'을 생각하면 소비자가 부담하는 비용은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1인당 GDP(국내총생산) 기준 한국(2023년 기준 약 3만5600달러)과 약 세 배 차이나는 중국(약 1만2174달러)의 경우, 29일 오전 환율 기준 더 한국보다 500원가량 비쌌으며, 인상된 가격(6100원)을 생각해도 한국 스타벅스 가격이 저렴했다. 스타벅스 가격책정은 현지 물가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커피 프렌차이즈별 가격을 비교해도 스타벅스가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가장 비싼 곳은 '폴바셋'의 '카라멜 마키야토 프라페'가 6900원으로 스타벅스보다 1000원 비쌌다. 그 다음으로는 '커피빈'의 '캐러멜IB'이 6800원(900원▲), '할리스'의 '콜드브루 할리치노'가 6400원(500원▲), '투썸 플레이스'의 '스초생 프라페'가 6100원(200원▲), '탐앤탐스'의 '바닐라 탐앤치노'가 5800원(100원▼)으로 뒤를 이었다. 상승된 가격을 감안해도 순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용량에서는 스타벅스가 적은 편에 속했다.
카페별 가격 비교 대상은 얼음과 커피 등을 함께 갈아 만든 '스무디' 종류로 대상을 선정했으며, '투썸 플레이스'의 경우 커피 스무디가 아닌 '스초생 프라페'를 골랐다.
한편, 스타벅스는 지난해 기준 2조 9295억 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률은 4.8%에 불과했다.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또한 5.1%에 그쳤다. 이는 10%를 달성했던 2021년과 대비된다.
사진=스타벅스, 두피디아, 챗GPT / 그래픽=MHN스포츠
추천 뉴스
- 1 한덕수 총리, 개천절 경축사에서 의료개혁 의지 재확인 (MHN스포츠 안하늘 인턴기자) 한덕수 국무총리가 의료개혁에 대한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지난 3일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경축사에서 한 총리는 지난 3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미래 세대를 위한 필수 의료 개혁을 반드시 완수하겠다" 고 말하며 의료개혁 의지를 거듭 밝혔다. 한 총리는 "정부는 미래 국가경쟁력의 관건이 되는 연금, 의료, 교육, 노동 등 4대 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겠습니다"라고 전하며 구조개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는 개혁은 멈추면 후퇴한다는 역사의 뼈아픈 교훈을 결코 잊
- 2 소비자물가 '1.6%' 올해 최저...韓 금리 인하는 언제? (MHN스포츠 이준 기자) 지난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6%로 올해 최저치를 달성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1.6% 상승에 머물렀다. 이는 지난 8월(2.0%)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다시 한 번 최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 4월 2.9%를 기록하며 2%대에 진입했던 소비자물가 지수는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으며, 1%대 진입은 올해 처음이다.이날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물가 상황점
- 3 美 연준, 금리 0.5%p 낮추는 '빅컷' 단행...韓 금리는? (MHN스포츠 이준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이 18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p를 내리는 '빅컷'을 단행하며 추가 인하를 예고한 가운데, 한국의 기준금리가 주목됐다.미국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존 연 5.25~5.50%였던 금리를 0.5%p 내린 4.75~5.00%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위기 대응을 위해 금리를 낮춘 이후 처음이다.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줄었지만, 실업률 상방 위험은 커졌다"며 금리 인하
- 4 8월 소비자물가 2.0%↑..."장바구니 부담은 여전해" (MHN스포츠 이윤비 기자) 일부 과일 물가를 제외한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초반으로 둔화하면서 안정세를 보였지만, 장기간의 고물가로 인해 물가 수준 자체가 높아 장바구니 부담은 여전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54(2020년=100)로 전년 동기 대비 2.0%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3월 1.9%를 기록한 뒤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다섯달째 2%를 기록하고 있다.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 물가가 1.4%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
- 5 올 추석 선물 기준 1위 '가성비'...농식품부, 물가 안정 '총력' (MHN스포츠 이준 기자) 민족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추석 선물 기준으로 '가성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가운데, 정부는 추석 대비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상공회의소가 3일 전국 20세 이상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추석 선물 구매의향' 조사 결과, 선물 선택 기준으로 '가성비(68.2%)'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대 별로는 60대 이상이 78.0%로 가장 많이 가성비를 중시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50대(72.8%)와 20대(51.3%)
- 6 스타벅스 20%대↑폭등, 남은 건 금리 인하뿐..."최악의 시간은 지났다" (MHN스포츠 이지웅 인턴기자) 뉴욕증시가 횡보한 어제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보다 뚜렷해진 금리 인하 가능성이 매수세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 다우지수는 1.04% 오른 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68%, 나스닥은 무려 2.43% 급등했다.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점친 데 따른 결과다. 생산자물가지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 확인을 위해 활용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의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7월 PPI는 전월 대비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