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에 불붙은 탈중국...인도산 아이폰 수출 급증

(MHN 김성민 인턴기자) 전자제품 관세 면제 발표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對中) 관세 유지 방침이 애플의 인도 생산 확대를 부추기고 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약 22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아이폰을 생산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년 대비 60%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며, 전체 아이폰 생산량의 약 20%에 해당한다. 인도 기술부에 따르면 이 가운데 약 25조 원어치가 해외로 수출됐으며, 특히 미국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가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해 125%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부과했고, 이와 별도로 펜타닐 유입 차단과 관련해 20%의 별도 관세도 유지하고 있다.
비록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일부 전자제품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으나, 중국에 부과한 이들 품목에 대한 20%의 별도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아이폰은 가격 경쟁력에서 인도산 제품에 비해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제품 관세 면제에 관련하여 혼란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SNS를 통해 "전자제품은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졌을 뿐"이라고 밝히며, 관세 면제가 아님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국가 안보 관세 조사 대상으로 삼을 것"이라며 "특히 중국같이 미국을 최악으로 대우하는 나라에 대해서는 봐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애플은 인도 생산 아이폰의 미국 공급량을 늘리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 전세기 6대를 동원해 150만 대, 총 600톤 분량의 아이폰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수송했다. 생산 대부분은 인도 남부 폭스콘 공장에서 이뤄지며, 타타 일렉트로닉스 등 현지 업체들도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다.
애플은 중국 내 공급업체가 200곳에 이를 정도로 높은 의존도를 보여왔지만,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중국 공장에서 겪은 생산 차질 이후 인도를 비롯한 대체 생산 거점을 적극 확대해왔다. 미국 내 생산을 촉구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대해서는, 생산 인프라와 인력 부족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결과적으로 애플의 인도 생산 확대는 고율의 중국산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향후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거점 이동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나스닥 27% 폭락…‘제2의 닷컴버블·IMF’ 가능성 커지나?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상승과 트럼프의 관세 여파로 글로벌 증시가 출렁이고, 코스피도 2,500선 붕괴하며 한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 2 미국의 대중 관세 카드… 한국 조선업, 전략 파트너로 부상하나 美, 中 조선업에 고율 관세 검토…HD현대는 HII와 MOU 체결하며 글로벌 조선 공급망 전환의 중심에 섰다.
- 3 최상목 부총리, 트럼프 통상정책 선제 대응 지시… “모든 협력 채널 가동” 최상목 부총리가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선제 대응을 지시하며, 모든 협력 채널을 가동할 것을 주문했다. 한국 정부는 2월 중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및 실무 접촉을 강화할 계획이다.
- 4 서울 아파트값, 2025년 대폭 상승?...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 부족, 전세 가격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 및 대외 경제 변수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5 벽을 없애다, 소음을 줄이다… 현대건설이 설계한 미래의 집 현대건설, 국내 최초 'PC 라멘조' 기술 인증 획득… 자유 평면·층간소음 저감 구현으로 주거 구조 혁신 가속.
- 6 하나금융, 산불 피해에 10억 기부... 전방위 금융 지원까지 하나금융, 산불 피해 이재민 위해 성금 10억 및 금융지원 나서… 대출 유예·우대금리·보험금 선지급 등 총력 대응.
- 7 삼성, 생존 기로에 섰다…이재용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9년 만의 임원 세미나에서 "삼성은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고 경고했다. 점유율 하락과 반도체 부진 속에서 ‘독한 삼성인’ 정신과 기술 혁신을 강조하며 강도 높은 변화를 예고했다.
- 8 대통령 궐위 후 첫 국무회의… 한덕수 “혼란 속 질서, 국민이 지켰다” 한덕수 권한대행, 2개월 간 국민 안정·민생·통상전쟁 대응에 집중…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
- 9 강남 집값 ‘폭등’…토허제 해제에 마용성·수도권도 들썩 서울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2018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송파 0.72%, 강남 0.69%, 서초 0.62% 오르며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마용성·과천 등으로 상승세 확산 중.
- 10 강남 3구 아파트 가격,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후 ‘급등’…2018년 이후 최대 상승[아파트 가격 전망] 서울 강남 3구 아파트 매매가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후 급등하며 2018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와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당분간 강남권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아파트 가격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