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측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 본관 일부 전력 차단과 관련한 더불어민주당의 단전 지시 의혹 제기에 대해 "사실 왜곡과 조작"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은 16일 입장문을 통해 "단전 논의는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707특수임무단이 출입 통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라며 "민주당이 허위사실을 기반으로 대통령이 지시한 것처럼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리인단은 민주당이 공개한 영상을 두고 "검찰조차 공소장에 포함하지 않은 내용으로, 대통령과의 연관성을 입증할 수 없는 허위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단전 조치는 자신이 결정한 것이라고 증언한 점을 들어 "곽 전 사령관이 임의로 내린 지시에 대한 주장일 뿐"이라며 민주당의 주장을 일축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6분부터 약 5분간 계엄군이 국회 본관 지하 1층 전력을 차단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는 윤 대통령이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려 했다는 정황"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윤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가 단장으로 있는 '대통령 국민변호인단'은 해외 교민들도 가입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개선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 = 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서울 아파트값, 2025년 대폭 상승?...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 부족, 전세 가격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 및 대외 경제 변수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2 중국 딥시크발 충격…삼성-SK하이닉스-엔비디아 등 반도체 업계 요동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AI 업계의 경쟁 구도를 흔들며 글로벌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기존 AI 모델보다 훨씬 낮은 비용으로 챗GPT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고 발표하자,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기업의 주가가 급락했다. 이 여파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도 타격을 입었으며, AI 패권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딥시크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R1’이 메타의 라마3와 오픈AI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개발비
- 3 "트럼프 ‘관세 폭탄’ 터지나? 현대차 4조 원 손실 위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한국·독일·일본 자동차 업계가 비상에 걸렸다.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며, 업계는 최대 4조 원대 손실을 우려하고 있다.
- 4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 발표…한국 직접 언급에 대상 포함될 가능성↑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가 큰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한국을 ‘상호주의 교역’에 위배되는 사례로 직접 언급하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상호 교역과 관세’ 각서에 서명하고, 상무부에 국가별 관세율을 새롭게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각국과 개별적으로 협상할 것이며, 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