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기업에 미국 생산을 요구하며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했다. 한국산 세탁기 관세 성공 사례를 거론하며 강경 정책 기조를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플로리다에서 열린 공화당 연방하원 콘퍼런스 연설에서 외국 기업이 미국 내에 공장을 세우지 않을 경우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의약품, 반도체, 철강, 희토류 등을 관세 부과 대상으로 언급하며, 자국 산업 보호와 생산 재배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인 2018년 한국산 세탁기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성공 사례로 들었다. 당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해 삼성과 LG 등의 제품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한 것을 언급하며, "만약 우리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오하이오에 있는 회사들은 모두 망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하이오주의 공장들이 관세 조치 덕분에 살아남았다고 강조하며 "이제 오하이오 주민들은 번창하고 있다. 내가 없었다면 공장 문을 닫아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방위산업에 필수적인 철강,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자원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특히 희토류 광물 확보 계획을 언급하며,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국내 생산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에 협조하지 않는 국가에 대해 경제적 대가를 치르게 하고 관세 및 제재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는 전날 콜롬비아를 겨냥해 발표한 고율 관세 부과 방침과 맥을 같이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포함한 강경한 대외 정책과 함께 국내 군사 및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행보를 이어가며, 재집권 이후에도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관세 전쟁’ 일촉즉발… 콜롬비아,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항복 선언’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추방 문제를 두고 콜롬비아에 강경 관세와 제재를 압박, 9시간 만에 협조를 이끌어냈습니다. FTA 체결국인 콜롬비아에도 관세 위협을 불사한 이번 사례는 한국 등 동맹국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 주목받고 있습니다.
- 2 [25년 엔터가 분석] BTS-블랙핑크 이어 신인까지…올해 K-엔터 반등 기대 하이브·SM·JYP·YG 등 K-엔터테인먼트 업계가 BTS 복귀, 신인 아이돌 데뷔, 글로벌 공연 재개로 2025년 주가 반등을 노리고 있다.
- 3 트럼프-뉴섬, 캘리포니아 산불 대응 두고 온도차…“FEMA 폐지 검토” 캘리포니아 산불 피해 현장을 찾은 트럼프 대통령이 재난 지원 체계 개혁을 시사하며 FEMA 폐지 가능성을 거론, 뉴섬 주지사와 미묘한 대립각을 세웠다.
- 4 진짜 몸이 100갠가?...회사 운영하면서 게임도 즐기는 기업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일론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는 바쁜 일상 속에서도 게임까지 챙기는 이른바 '겜돌이'다.
- 5 2025 설 연휴 JTBC...'빅토리'·'옥씨부인전'→'아는형님'·'분노 바이러스: 윤석열과 균열의 시대' JTBC가 설 연휴를 맞아 신작 영화와 특집 다큐를 선보인다.
- 6 여권에서 사라진 ‘X’…공식적으로 미국 성별은 ‘남녀’ 뿐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47대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하며 남성과 여성만을 인정하는 행정명령을 발효, 성소수자 관련 정책에 전면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이번 조치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해 온 성소수자 권리 강화를 정면으로 뒤집는 결정으로 평가받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로툰다 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는 오늘부터 정부의 공식 정책으로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성별만을 인정한다”고 선언하며, “공적 및 사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성별과 인종에 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