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국회의원 200명 찬성하면 헌재로 공 넘어가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민주당이 주도하는 윤 대통령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막힐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야 6당은 4일 오후 2시 43분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 탄핵소추안 발의에 국민의힘 의원은 참여하지 않았다. 야권은 오는 5일 탄핵소추안을 본회의에 보고하고, 6~7일쯤 표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통령 탄핵 소추는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가 발의,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된다. 탄핵 소추 발의 요건은 국회의원 150인이라 비교적 손쉽게 충족되었다. 하지만 탄핵 소추 의결을 위해서는 국회의원 200명 이상이 찬성해야 하므로 범야권 의원만으로는 부족하고, 국민의힘에서 최소 8명이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해야한다.
한편 국회에서 탄핵 소추가 이뤄지면 헌법재판소에서 사건을 심리한 뒤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지금 헌재에는 전체 재판관 9인 중 6인만 있는 상황이다. 지난 10월 3인의 재판관이 임기 만료로 퇴임하고 나서 그 후임을 국회가 추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후임자가 없었던 이유는 여야가 후임 인선을 놓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재판관 9인 중 국회의 몫인 3인은 통상 여야가 1명씩 추천하고 나머지 1인을 여야합의로 선출해왔다. 그러나 민주당에서 의석수를 반영해 여당에서 1인, 야당에서 2인을 추천하자는 입장을 고수해 후임이 정해지지 못했다.
대통령 탄핵 결정을 위해서는 헌법재판관 6인의 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헌재법 23조 1항에 따르면 재판관 7인 이상이 참여해야 사건을 심리할 수 있다. 따라서 국회가 윤 대통령 탄핵 소추를 하더라도 헌재가 심리를 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헌재가 심리를 하더라도 재판관 9인 중 3인이 없는 상황에서 탄핵이라는 중대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민주당은 4일 오후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고 공석인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로 서울서부지법 마은혁 부장판사와 정계선 서울서부지방법원장을 추천하기로 의결했다.
사진=KTV 갈무리
추천 뉴스
- 1 [트럼프 2.0] (6) '예상못해' 피트 헤그세즈, 앵커가 국방장관으로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7대 대통령 당선인이 2기 행정부 국방장관 직에 파격적인 인선을 단행했다.지난 12일(이하 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국방장관 직에 폭스뉴스 진행자이자 전역 군인인 피트 헤그세스를 지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피트는 강인하고 똑똑하며 미국 우선주의의 진정한 신봉자"라고 덧붙였다.헤그세즈는 미 육군 주 방위군 출신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현재 트럼프에 우호적인 성향의 매체인 폭스뉴스에서 간판 프로그램 ‘폭스 앤 프렌즈 위크엔드
- 2 [트럼프 2.0] (5) 트럼프, 반중(反中) 성향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제47대 대통령 당선인이 국무장관 직에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플로리다)을 지명한 가운데, 미중 갈등이 더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지난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성명을 통해 국무장관 인선에 루비오 의원을 지명했다. 미국 국무장관은 외교 전반을 전두지휘하는 총사령관이다. 문제는 루비오 의원이 현재 중국 당국이 입국을 금지하는 명단에 올라 있다는 것이다. 그는 과거 '하나의 중국'을 지향하는 중국의 심기를 건드린 적 있다. 지난 2020년 루비오 의원은 중
- 3 [트럼프 2.0] (4) 머스크, 도지코인 아버지에서 'DOGE' 수장으로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정부효율부' 수장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지명한 가운데, 머스크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지난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성명을 통해 "훌륭한 두 미국인(머스크와 라마스와이)이 정부 관료주의를 해체하고, 과도한 규제와 낭비를 줄이고, 연방 기관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연방 정부 재정을 개혁해야한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정부효율부(Department
- 4 [트럼프 2.0] (3) 트럼프, 딸 이방카 앉히려 했던 유엔대사 직에 '이 사람' 지명했다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미국 제47대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유엔 주재 미국 대사로 엘리스 스테파닉을 지명했다.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스테파닉을 유엔 주재 미국 대사로 임명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는 스테파닉을 두고 "엄청나게 강하고, 끈기 있고, 똑똑한 미국 우선주의자"라고 표현했다.스테파닉은 뉴욕 북부 출신으로, 하버드 대학 졸업 후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백악관 국내 정책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2014년 최연소 여성 하원의원(
- 5 [트럼프 2.0] (1) 트럼프, 첫 백악관 인선에 3번의 대선 함께한 수지 와일스 지명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민주당 후보인 카밀라 해리스 부통령을 누르고 백악관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강경한 '미국 우선주의'를 지향하는 것으로 알려진 트럼프의 당선 이후 그가 구성할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인사 지명이 주목을 받고 있다.지난 7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성명을 내고 수지 와일스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미국 역사상 백악관 비서실장에 여성이 지명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성명에서 “수지는 강인하고 똑똑하고 혁신적이며 보편
- 6 [트럼프 2.0] (2) 스티븐 밀러, 트럼프 1기 이어 백악관 재입성할 '反이민 책사' (MHN스포츠 주은호 인턴기자) 미국 대선에서 승전포를 울린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두번째 인선결과가 발표됐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7일(현지시간) 가장 먼저 백악관 비서실장에 수지 와일스를 지명했다. 이어 부비서실장은 누가 될 것인가 이목이 쏠린 가운데, 11일 CNN을 통해 스티븐 밀러가 지명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미국의 불법 이민자 추방에 속도가 붙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유대인이자 연방의회 보좌관 출신의 밀러는 트럼프의 첫 대통령 취임 연설문을 맡았던 인물이다. 그뿐만 아니라 트럼프 1기 행정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