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태·한빈 등 프로 강자 꺾어...프로 입단 겹경사

(MHN 엄민용 선임기자) 무명의 아마 강자 이원준이 ‘창원생활민속 장기대회’에서 우승하며 프로의 문턱을 넘어섰다.
지난 2일 창원특례시에 자리한 대한장기협회 경남지회에서 열린 ‘제4회 창원생활민속 전국 프로·아마 장기대회’ 결승전에서 아마 강자 이원준이 2025총재배 우승자인 한빈 초단을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대회에 앞서 열린 개막식에서 차삼성 대한장기협회 경남지회장은 대회사를 통해서 “대중 스포츠로 발전한 바둑과 달리 장기는 대중성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해 안타깝다”며 “이번 대회가 장기 인구 저변 확대에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권장섭 대한장기협회 총재는 격려사를 통해 “대한장기협회가 생긴 지 70년 됐지만 장기가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는 데다 장기계가 둘로 나눠져 있어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며 “경남지회에서 이런 대회를 개최해 장기가 한 걸음 더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장기인들이 장기를 많이 둘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전국의 장기 고수들 100여 명이 모인 이날 경기에서는 우선 조별리그를 통해 본선 32강을 선발했다. 이후 32강 단판 토너먼트로 최종 우승자를 가렸다. 다만 프로 및 아마추어 통합으로 치러진 이번 대회는 70세 이상 시니어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32강전에 8명을 배정해 진행했다.
결승전은 올해 2025 총재배 우승자인 한빈 초단과 ‘무림의 숨은 고수’ 이원준의 대결로 치러졌다. 한빈 초단은 김정우, 박기환, 조병운, 아마추어 윤갑수에게 승리를 거두며 결승 무대를 밟았다. 이원준은 표세철, 김정원, 최지안에 이어 당초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던 양승태를 꺾고 결승전에 올랐다. 양승태는 올해 기왕전·명인전 우승자다. 한빈과 이원준의 대결에서는 예상을 깨고 이원준이 접전 끝에 ‘점수승’을 거뒀다.

이원준은 우승 후 가진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많은 대회에 참가했지만 프로들과는 대국을 해 본 적이 없어 기대를 안 했는데 행운이 많이 따랐다”며 “앞으로 프로 무대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우승으로 이원준은 프로입단이 확정됐다.
이번 대회는 대한장기협회 경남지회와 창원생활민속장기가 주최하고, 대한장기협회와 창원생활민속장기가 공동 주관했다.
키워드
#장기、 대한장기협회추천 뉴스
- 1 ‘타이슨 장기’ 이창원, ‘국수’ 등극…생애 첫 우승 (MHN 엄민용 선임기자) 이창원 7단이 장기 '국수’에 올랐다.지난 26일 서울 성북구 대한장기협회 특별대국실에서 진행된 ‘2025 국수전 장기대회’ 결승 5번기에서 이창원 7단이 신예 강호 강동호 3단을 3-0 완봉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이날 벌어진 경기 중 결승1국에서 이창원 7단은 차가 잡힌 상황에서도 끈질기게 강동호 3단의 약점을 공략해 완승을 거두며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 분위기를 탄 이창원 7단은 결승2·3국에서도 노련한 기량으로 강동호 3단을 압도하며 승리를 거둬 생애 첫 우승의 기쁨을 맛봤다.장기계에서 ‘타이슨
- 2 달구벌 후끈 달군 국내 아마추어 ‘장기왕’은 누구?‘ 장기는 바둑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브레인 스포츠 종목이다. 국내에서는 바둑보다 더 많은 동호인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국내 경기에 국한되다 보니 상금 규모가 적고 언론의 조명도 덜 받아 대회 소식이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1년 내내 크고 작은 장기대회가 전국에서 열리고 있다.지난 26일 대구광역시 서구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제6회 달구벌 전국장기대회도 그중 하나다. 전국 아마추어 강자들이 총집결한 최대 규모의 아마추어 장기대회인 달구벌 전국장기대회는 국적과 소속을 불문하고 한국 장기를 사랑하는 아마추어면 누구나 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