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권한대행, 8일 조기 대선일 발표 전망

(MHN 기태은 인턴기자)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실시된 대선이 오는 6월 3일로 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관계자는 오는 8일 열리는 정례 국무회의에서 안건을 상정하고 대선일을 확정 및 공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관계자는 “선거일 지정의 경우 국무회의를 거쳐야 한다는 명확한 법적 근거는 없지만, 중요한 안건인 데다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문제도 있어 국무회의 의결을 거치는 것”이라고 말을 전했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탄핵이 확정되면 그다음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선거를 치러야 하고, 선거일은 50일 전까지 공고돼야 하므로, 한덕수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오는 14일까지 5월 24일에서 6월 3일 중 하루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해야 한다.

본래 임기 만료 등의 일반적 상황에서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는 수요일에 실시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지만, 대통령 궐위로 인한 조기 대선의 경우 요일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에도 차기 대선일을 60일 꽉 채워 정한 바 있는 정부는 이번에도 법이 규정한 범위에서 가장 늦은 날을 대선일로 지정했다. 예기치 못했던 조기 대선인 만큼, 유권자와 피선거권자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행정부도 선거 준비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6월 3일로 선거일이 확정되면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선거 24일 전인 5월 11일,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5월 12일부터 선거일 하루 전인 6월 2일까지이며, 입후보하려는 공직자는 선거일 30일 전인 5월 4일까지 공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6월 3일로 예정됐던 2026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6월 모의평가 일정을 변경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 1 ‘글로벌 무대 복귀’ 이재용…샤오미·퀄컴과 손잡은 진짜 이유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샤오미·퀄컴과 미래 협력을 논의하며 글로벌 경영 행보에 본격 나섰다.
- 2 HBM3E 승인 논란… 삼성전자 “품질 검증 진행 중, 공급 일정 불확실” 삼성전자가 HBM3E 8단 제품의 엔비디아 승인 소식을 공식 부인했다. 블룸버그 보도와 달리 아직 품질 검증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공급 일정도 미정이다. 이로 인해 반도체 시장에서 혼선이 커지고 있다.
- 3 최상목 부총리, 트럼프 통상정책 선제 대응 지시… “모든 협력 채널 가동” 최상목 부총리가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에 선제 대응을 지시하며, 모든 협력 채널을 가동할 것을 주문했다. 한국 정부는 2월 중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및 실무 접촉을 강화할 계획이다.
- 4 서울 아파트값, 2025년 대폭 상승?...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2025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공급 부족, 전세 가격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 정책 및 대외 경제 변수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5 벽을 없애다, 소음을 줄이다… 현대건설이 설계한 미래의 집 현대건설, 국내 최초 'PC 라멘조' 기술 인증 획득… 자유 평면·층간소음 저감 구현으로 주거 구조 혁신 가속.
- 6 하나금융, 산불 피해에 10억 기부... 전방위 금융 지원까지 하나금융, 산불 피해 이재민 위해 성금 10억 및 금융지원 나서… 대출 유예·우대금리·보험금 선지급 등 총력 대응.
- 7 삼성, 생존 기로에 섰다…이재용 “첫 번째도 기술, 두 번째도 기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9년 만의 임원 세미나에서 "삼성은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고 경고했다. 점유율 하락과 반도체 부진 속에서 ‘독한 삼성인’ 정신과 기술 혁신을 강조하며 강도 높은 변화를 예고했다.
- 8 홈플러스 회생 논란 격화...'부도 막기 위한 선택' vs '사기나 다름없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을 두고 국회 긴급현안질의에서 "부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MBK파트너스의 해명과 "사기나 다름없다"는 의원들의 비판이 충돌했다.
- 9 강남 집값 ‘폭등’…토허제 해제에 마용성·수도권도 들썩 서울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2018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송파 0.72%, 강남 0.69%, 서초 0.62% 오르며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고 있다. 마용성·과천 등으로 상승세 확산 중.
- 10 강남 3구 아파트 가격,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후 ‘급등’…2018년 이후 최대 상승[아파트 가격 전망] 서울 강남 3구 아파트 매매가가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후 급등하며 2018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와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당분간 강남권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아파트 가격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