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전환을 아우른 LF의 미래 패션 전략

(MHN스포츠 박자은 인턴기자) LF가 2025년 패션 키워드로 '스레드'를 발표했다. 클래식,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을 아우르는 새로운 비전이 주목받고 있다.

20일 생활문화기업 LF는 2025년 을사년 패션 트렌드를 아우르는 핵심 키워드로 ‘스레드(THREADS)’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스레드는 ‘실’ ‘실을 꿰다’는 의미의 영어 단어로, 다양한 마이크로 트렌드와 고객 취향이 엮여 변화무쌍하게 진화하는 패션 시장을 상징한다. 이 키워드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성과 혁신이라는 양대 축을 기반으로 2025년 패션 산업의 흐름을 새롭게 정의한다.

‘스레드’는 각각 T(Timeless Classic), H(High Performance), R(Revolutionary Items), E(Eco-Friendly Fashion), A(Accessibility), D(Digital Transformation), S(Scalable Growth)의 첫 글자를 따온 약어로, 시대를 초월하는 클래식부터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패션,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확장까지 포괄한다.

LF는 이 키워드를 통해 푸른 뱀의 해가 상징하는 변화와 재생의 의미를 반영하며, 고객 취향과 마이크로 트렌드가 긴밀히 연결되는 미래 패션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타임리스 클래식(Timeless Classic)의 중요성은 경기 침체와 사회적 불확실성 속에서 더욱 부각되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유행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닌 클래식 아이템은 시대를 초월한 스타일로 자리매김하며 패션 시장의 핵심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헤지스는 25주년을 맞아 ‘아이코닉(Iconic)’ 라인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브랜드 론칭 초기부터 카라 티셔츠, 케이블 니트 등 누구나 쉽게 입을 수 있는 클래식 아이템을 대표 아이템으로 선보인 헤지스는,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캐주얼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닥스는 131주년을 기념해 브리티시 클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아이템을 선보이며, 데님과 트렌치코트 등 클래식 아이템에 기능성을 더한 신규 컬렉션으로 주목받을 예정이다. 이러한 전통적 스타일의 현대적 재해석은 클래식 패션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소비자층의 관심을 끌기 위한 시도로 평가된다.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의 확산과 함께 고기능성 스포츠웨어 시장도 주목받고 있다. 티톤브로스는 독보적인 기능성 소재를 바탕으로 퍼포먼스를 중시한 아웃도어 라인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하이 퍼포먼스(High Performance)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리복은 크로스핏, 농구 등 전문 스포츠 라인을 강화하며 스포츠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퍼포먼스 시장을 확장한다. 특히 트레이닝화 ‘나노’ 시리즈와 신규 농구화 출시를 통해 스포츠 마니아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헤지스골프와 닥스골프 역시 프리미엄 기능성 라인업을 확대하며 골프 퍼포먼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옴니보어(Omnivore)와 마이크로 트렌드(Micro Trend)처럼 개성을 존중하는 새로운 소비 흐름은 혁신 아이템의 탄생을 촉진하고 있다. 아떼 바네사브루노 액세서리는 하나의 아이템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멀티 유즈(multi-use) 제품인 봉봉백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제품은 슬링 숄더, 백팩, 크로스백, 숄더백 등 4가지 스타일로 변형 가능하며 2030대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데 성공했다. 아떼 가르송의 워크웨어백은 조끼와 가방의 경계를 허물며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패션 트렌드의 최전선에 서 있다.

지속 가능성(Eco Friendly Fashion)은 패션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헤지스는 친환경 포장재 도입 확대, 3D 디자인 프로그램 활용으로 실물 샘플 제작을 줄이며, 반려동물 복지 캠페인 등 환경과 동물 복지를 고려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던스트는 비건 레더와 비건 스웨이드 등 동물성 소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티톤브로스는 친환경 구스다운 제품을 통해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소비를 지향한다.

패션 시장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경쟁력 확보의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LF몰은 AI 기반 리뷰 시스템, 원클릭 결제, 개인화 상품 추천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LF는 소셜 미디어와 팝업스토어 등 다양한 접점을 통해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며 2030 소비자층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패션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LF는 해외 진출과 리브랜딩 전략을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헤지스는 아시아를 넘어 중동,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K-패션의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던스트는 중국 시장과 유럽 시장의 홀세일 영향력을 확대하며 글로벌 브랜드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또한, 헤지스와 질스튜어트남성은 젊은 해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영입해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재편하고 팬덤을 확장할 계획이다.

LF 관계자는 “스레드는 변화무쌍한 패션 시장에서 고객의 취향과 마이크로 트렌드가 긴밀히 연결되는 현상을 상징하는 키워드”라며, “이는 클래식, 혁신, 지속 가능성, 디지털 전환 등 현대 패션의 핵심 가치를 포괄하며 앞으로의 산업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클래식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전환, 글로벌 확장을 아우르는 ‘스레드(THREADS)’는 패션 산업의 미래를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변화와 재생의 상징인 푸른 뱀의 해를 맞아, LF가 선보일 혁신적인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 LF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