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경우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고려할 수 있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는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는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MHN스포츠 이준 기자) 북한의 대규모 러시아 파병에 대해 한국 정부는 "북한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2일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신원식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 회의를 개최해 북한의 러시아 파병 및 우크라이나 참전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차장은 "회의 참석자들은 대량의 군사 무기를 러시아에 지원해온 북한이 러시아의 불법적 우크라 침략전에 파병까지 이른 건 우리는 물론 국제사회에 대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자 북한과의 일체의 군사협력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행위라고 지적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고 전했다.

김 차장은 "(정부는) 러북 군사협력에 대한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가 이행되도록 동맹 및 우방국들과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며 "러북 군사협력이 우리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에 대비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치들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정원과 해외 언론 등은 최근 북한이 러시아 측에 북한 특수부대 약 1만 2천여 명을 파병해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안보실, 국방부 등 핵심 관계자들과 함께 지난 18일 긴급 안보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한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앞으로 단계별 시나리오를 보면서 (우크라이나에) 방어용 무기 지원도 고려할 수 있고, 그 한도가 지나치다 싶으면 마지막에 공격용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북한의 전투 병력 파병에 따른 러북 군사협력의 진전 추이에 따라 단계적 대응 조치를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