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 당정 만찬...'추석 이후'로 연기돼
한동훈, '2026년 의대 증원 유예' 주장...대통령실 "거부"
한 대표, SNS에 유예 주장 내용 게시...만찬 연기

지난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인사 후 떠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지난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인사 후 떠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MHN스포츠 이준 기자) 오는 30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만찬 회동이 오는 9월 추석 연휴 이후로 연기되면서 '윤·한갈등'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최근 한동훈 체제의 국민의힘 지도부 인선이 마무리돼 당정 화합을 위해 한 대표와 함께 만찬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8일 중앙일보에서 단독으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추석을 앞두고 당정이 모여 밥먹는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민생 대책을 고민하는 모습이 우선"이라며 "지도부 식사는 추석 연휴 끝나고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 대표가 정부에 제안한 '2026학년도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 유예' 주장에 윤 대통령이 불쾌감을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오찬간담회에서 이틀 전인 25일 한 대표가 2026년 의대 정원 증원 유예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정치권 따르면, 한 대표의 제안에 한 총리는 관련 기관에 지시해 검토를 했으나, 최종적으로 수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 대표는 같은날 오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의료개혁의 본질과 동력을 유지하되, 국민 건강이라는 절대적 가치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덜어드리기 위해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는 2025년에는 입시요강으로 발표된 증원을 시행하되, 2026년에는 2025년에 현원 3,000명의 수업미비로 인해 증원분까지 합한 7,500명을 한 학년에서 교육해야 하는 무리한 상황을 감안하여 증원을 1년간 유예하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통령실은 하루 뒤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재진들에게 "의료 개혁과 관련해서 대통령실의 입장은 일관된다"며 한 대표의 제안을 거부한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기존 입장에서 변한 것이 없기 때문에 그런 의미에서는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한편, 이번 만찬 연기와 의대 증원 입장 차이 등으로 인해 윤·한 갈등 의혹이 다시 불겨졌다. 여권 지지자로 추정되는 한 네티즌은 하나되지 못하는 정부와 여당의 모습에 "갈등이 또 시작될까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윤·한 갈등'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지난 제22대 총선 과정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다.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게는 국민의힘 국회의원 후보 공천 과정에서 '친윤계(친 윤석열 계열)'를 의도적으로 배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한, 총선 이후 당시 비대위원장을 사임한 한 전 비대위원장이 윤 대통령의 만찬 회동을 거부한 것이 밝혀지면서, 윤·한 갈등 의혹의 불씨를 키웠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지난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당선 된 이후 일명 '채상병 특검'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가 우선'이라는 입장에서 윤 대통령과 일부 일치된 모습을 보이며 윤·한 갈등을 잠재우기도 했다.

 

사진=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