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동안 10개 특위 구성, 298개 정책 대안 마련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MHN스포츠 이윤비 기자) 국민통합위원회가 제2기 활동을 마무리하는 회의를 개최했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위원장 김한길, 이하 통합위)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기 위원회 활동을 마무리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기 위한 제13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김한길 위원장은 "지난 1년 동안 활동해 온 2기 위원들에게 감사를 표한다"며, "그동안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손에 잡히는 이야기를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위원회를 운영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정치와 뒤엉킨 지역주의는 우리가 풀어내지 못한 오래된 숙제"라며, "환경문제,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들은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도전과제"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근본적인 사회갈등 원인을 정면으로 마주면서 더 적극적이고 더 과감하게 다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작년 8월에 출범한 제2기 통합위는 지난 1년 동안 10개 특위를 구성해 전문가 토론, 대국민 컨퍼런스 등 의제화를 진행했으며, 총 298개의 정책대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시했다.

통합위는 작년 하반기에 청년과 사회적 약자에 초점을 맞춰 5개 특위를 운영하며 소상공인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정년퇴직자 계속고용 정책 추진, 도심의 폐교 등을 활용한 대학생 기숙사 확충 등 165개의 정책을 제안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동행을 주제로 5개 분야 특위를 가동해 북배경주민의 국내 및 제3국 출생 자녀 교육비 지원, 불법도박 이용 가상계좌 관리 강화 및 의심계좌 지급정지, 이주민 근로자 안전관리체계 개선, 불법사금융 피해 근절 방안 등 133개의 정책대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또한 통합위는 특위에서 나온 정책 제안이 지역 내부의 공론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전국에 17개의 지역협의체를 구성했다.

이를 통해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에 있어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 간 갈등을 줄이는 구체적인 사례가 됐다고 통합위는 전했다.

이와 함께 전국 17개 시도 100명의 청년들이 모인 '청년마당'을 운영해 미래 청년 세대들의 참신한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했으며, '10대 국민통합지표'를 발표해 국민들이 사회 분야별 사회갈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김한길 위원장은 "그간 통합위가 사회적 약자 보호와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조율에 중점을 두었는데 앞으로는 우리 사회 근본적인 사회갈등 원인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이고 과감하게 다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통합위는 오는 9월 초 제3기 위원회를 출범할 예정이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