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코치 김세일에게 가장 큰 고민,  가장 잘 해야 하는 것은 선수 지도 보다도 스카우트였다.

당시 라이벌 연세대 사령탑은 광성고 선배인 고 박종국 감독이 맡고 있었다. 70년대에 경성고를 강팀으로 이끌었던 박감독은 80년대 초반 연세대로 자리를 옮겼다. 그래서 경성고의 우수한 선수들이 대거 연세대로 진학했다.

더구나 경성고는 서부 서울에 자리하고 있어서 연세대와 거리상으로도 가까웠다. 83년 신입생 스카우트는 대어가 많았다. 특히 경성고 출신에는 김삼덕, 박현욱, 변선욱, 홍석범 등이 잘하는 선수였다.

나는 공격수 중 가장 뛰어났던 김삼덕과 수비수 박현욱, 홍석범을 잡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했다. 그러나 김삼덕 박현욱 변선욱 트리오는 모두 연대로 가버렸고, 홍석범만 스카우트에 성공했다.  내 노력보다는 옛 스승 박종국감독의 부름이 더 편하게 다가왔을 것이리라. 이듬해에도 윤성엽(현 연세대 감독) 등 경성의 우수선수들은 대다수가 연대로 갔다.

나도 천신만고 끝에 김희우(현 고려대 감독)와 박경운 등을 경성에서 데려올 수 있었지만 지금까지 아쉬움으로 남는 스카우트전이었다.  

사실 내가 고대 코치로 부임하기 이전에는 고려대가 연대를 압도했었다. 공교롭게도 내가 고려대 코치를 맡고 나서부터 균형이 맞춰지기 시작했고, 80년대 후반까지는 서로 이기고 지고 하는 팽팽한 대결양상이 펼쳐졌다. 선수들의 스카우트와 관련된 이야기는 뒤로 미루기로 하자.

고교감독을 맡다가 대학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것은 분위기나 상황이 또 달랐다. 고교선수들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감독이 하라면 뭣이든 했다. 사고뭉치 철부지들이더라도 목표가 있으니 말을 잘들었다. 그런데 성년이 된 대학선수들은 말을 하면 알아듣는 나이지만 목표가 없었다.   

당시 선수들은 대학이 종착역이었다.  졸업을 하고 나도 뛸 곳이 없으니 학업에 전념해 취직준비를 하거나 아예 은퇴를 해버리는 선수가 많았다. 술도 마실 수 있는 나이인데다 미팅 등으로 여자친구를 마음대로 사귈 수 있었다. 그래서 선수를 가르치는 것보다 오히려 관리가 더 힘들었다.

더구나 피튀기는 스카우트까지 해야 하니 대학 지도자는 보람도 있었지만 그만큼 어려운 점도 많았다.  어차피 지도자는 힘든 길을 달리는 직업이니까.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