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관도 엇갈린 분석… 여론은 실험실 유출설로 기울어

COVID-19 바이러스 실험실 유출설을 공개한 백악관 공식 홈페이지 
COVID-19 바이러스 실험실 유출설을 공개한 백악관 공식 홈페이지 

(MHN 김태형 인턴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기원을 둘러싼 논쟁이 다시금 미국 사회의 중심에 올랐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은 공식 홈페이지에 ‘실험실 유출’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게재하고,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 우한 바이러스연구소(WIV)에서 유출됐다는 주장을 담았다.

백악관은 해당 게시물에서 "2020년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된 것이 아니라, WIV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명시했다.

또 WIV 소속 연구자들이 2019년 가을부터 코로나와 유사한 바이러스에 감염돼 질병을 앓았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해 공화당 주도로 발표된 연방 하원 감독위원회의 보고서 내용과 동일하다. 백악관은 해당 보고서를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링크를 제공했다.

당시 하원 감독위원회 위원장인 제임스 코머 의원(공화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에게 코로나19의 진실을 제공했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코로나 선별진료소
코로나 선별진료소

그러나 미국 내 정보기관들 사이에서도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견해는 엇갈리고 있다. 미연방수사국(FBI), 중앙정보국(CIA), 에너지부는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반면, 국가정보위원회(NIC) 등은 자연 발생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란은 정치권의 대립으로도 이어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팬데믹 발생 직후부터 중국이 바이러스를 인위적으로 만들었다는 책임론을 주장해왔으며, 이에 반대되는 입장을 보인 앤서니 파우치 전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에 대한 경호를 철회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러한 실험실 유출 주장을 “비과학적”이라고 반박하며, 지난 하원 보고서 발표 당시 서명을 거부한 바 있다. 라울 루이즈 민주당 연방하원의원은 백악관의 이번 게시물에 대해 "팬데믹 당시 초기 대응 실패를 은폐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한편 미국 내 여론은 실험실 유출설에 점차 기울고 있다. 지난 2023년 이코노미스트와 유고브가 공동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66%가 해당 설을 신뢰한다고 응답했다.

 

사진=백악관 홈페이지, 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