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MHN스포츠 권수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이 사실상 직무에서 배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대표는 7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투표 불성립으로 폐기된 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국민의힘은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있는 퇴진을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이미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에 대한 당의 결정을 따르겠다고 한 바 있으니 혼란은 없을 것"이라며 이와 같이 말했다. 

같은 날 본회의에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상정됐다. 

국회의사당 앞에 모인 국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촛불시위를 전개하고 있다
국회의사당 앞에 모인 국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촛불시위를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우선 상정된 김 여사 특검법 투표 후 퇴장했다. 이는 탄핵소추안에 대한 당내 이탈표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국민의힘은 본회의 개원 전 탄핵안과 특검법을 모두 반대하기로 당론을 삼았다고 밝혔다.

과반수 참석과 3분의 2 찬성만 있으면 가결되는 특검법과는 다르게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재적의원 3분의2 참석과 찬성이 필요하다. 이날 본회의에서 재표결한 김 여사 특검법은 찬성 198표, 반대 102표로 최종 폐기됐다. 

대통령 탄핵안 또한 의결 정족수인 200명을 채우지 못해 폐기됐다. 이날 탄핵안 상정 후 본회의장에 남아있거나 투표한 의원 수는 195명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무산 후 한 대표는 "대통령 퇴진시까지 대통령은 대통령은 사실상 직무배제가 될 것"이라며 "국무총리가 당과 협의해 국정 운영을 차질 없이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표는 "계엄 선포 이후 오늘까지의 상황에 대해 여당 대표로서 국민들께 대단히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아울러 "계엄 선포 사태는 명백하고 심각한 위헌, 위법 사태였다. 그 계엄을 막으려 제가 제일 먼저 나섰던 것이고 관련 군 관계자들을 배제하게 했던 것"이라며 "대통령으로 하여금 임기 등 거취를 당에 일임하게 해 사실상 퇴진 약속을 받아냈던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임시회 회기를 일주일 단위로 끊어가며 국회 본회의에서 계속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재발의를 이어가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고 전했다. 

 

사진= 연합뉴스

추천 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