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6년 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마용성·강남권 강세

서울과 수도권 상승세… 지방은 보합 또는 하락세 지속

2025-06-19     이주환 기자

(MHN 이주환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20주 연속 오르며 주간 기준으로는 문재인 정부 시절이던 2018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19일 발표한 ‘6월 셋째주(16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36% 올라 2018년 9월 둘째주(0.4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올해 2월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 아파트값은 매주 가속도를 붙이며, 5월 이후로만 해도 0.08%→0.10%→0.13%→0.16%→0.19%→0.26%→0.36%로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그 중 성동구는 0.76% 상승해 2013년 4월 이후 12년 2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고, 마포구는 0.66%로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용산구도 0.71% 올라 2018년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권 역시 강남(0.75%), 서초(0.65%), 송파(0.70%), 강동(0.69%) 등이 모두 급등했다. 특히 동남권 전체 매매가격지수는 2018년 1월 이후 7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매도 희망가격이 상승하고, 매수 문의가 많아지고 있다"며 "상승 거래 사례가 포착되는 등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외 수도권도 영향을 받고 있다. 성남 분당구(0.60%)와 과천(0.48%)이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고, 전체 경기(0.03%), 인천(0.01%)도 소폭 상승하며 수도권 전체 상승률은 0.13%로 집계됐다.

반면 지방은 여전히 부진하거나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지방은 이번주에도 0.03% 하락했고, 5대 광역시는 0.04%, 8개도는 0.02%씩 떨어졌다. 다만 세종은 0.10% 상승했으나 전주(0.18%)보다는 상승폭이 줄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는 0.05% 상승해 전주(0.03%)보다 확대됐으며, 전세가격은 서울이 0.07% 올라 전주(0.08%)보다 다소 둔화됐다. 강동구(0.30%)와 동작구(0.15%) 등은 상승했지만, 성동구는 16주 만에 하락(–0.02%)으로 전환했다.

경기에선 과천(0.42%), 안양 동안구(0.24%), 성남 분당구(0.22%) 등이 올랐으나 광명시(-0.18%), 수원 팔달구(-0.10%) 등은 내렸다.

지방은 0.01% 내리며 하락세를 지속했다. 5대 광역시는 보합(0.00%)을, 8개도는 0.02% 하락률을 각각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급등세가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에 대한 기대감, ▲재건축 기대 심리, ▲7월부터 적용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시행 등을 앞두고 매수 심리가 자극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서울 집값의 고공 행진이 당분간 지속될지, 또는 조정 국면으로 접어들지 귀추가 주목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