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호주에 국방비 GDP 3.5% 요구… 앨버니지 "우리가 결정한다"

미국, 샹그릴라 대화에서 호주에 국방비 증액 요청 앨버니지 총리, "국방 정책은 호주가 결정" 자주성 강조 추가 방위비 요구, 호주의 자율성과 재정 부담 우려

2025-06-02     윤세호 인턴기자

(MHN 윤세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호주에 중국 견제를 위한 국방비 증액을 요청하면서 양국 간 외교적 긴장과 전략적 협의가 이어지고 있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5월 30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리처드 말스 호주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호주의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3.5% 수준까지 증액해 줄 것을 요청했다.

미 국방부는 헤그세스 장관이 "가능한 한 빨리" 국방비 인상을 요구했다고 전했으며, 말스 장관은 이를 "매우 정중하고 품위 있는 방식"으로 전달받았다고 설명했다. 말스 장관은 또 호주가 이미 평시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준의 방위비 증액을 진행 중이라는 점을 언급했다.

현재 호주는 향후 4년간 방위 예산을 106억 호주달러(약 9조4천억원) 증액하며, GDP의 2% 수준인 국방비를 오는 2034년까지 2.4%로 높일 계획이다. 이는 상당한 증가폭이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는 3.5%에는 미치지 못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나토(NATO)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국방비 증액 압박에 이어, 아시아·태평양 동맹국에도 유사한 요구를 확대하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지난 5월 31일 샹그릴라 대화 연설에서 "중국의 위협은 실제적이고 즉각적"이라고 경고하며, 방위력 강화를 촉구했다. 그는 일본, 호주, 필리핀 국방장관들과의 회의에서도 중국의 남중국해 활동을 지적했다.

이에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우리가 국방 정책을 결정할 것"이라며, "우리는 국방에 100억 호주달러를 추가로 투자했다"고 밝혔다.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현 상태 유지" 원칙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를 두 배로 인상한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 앨버니지 총리는 "경제적 자해행위"이며 "미국 소비자에게도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오는 15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자리에서 양국 간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AP, AFP, EPA, 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