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역수출 신화’ 켈리, “한국서 던지고 싶다" 깜짝 고백..."그 시기는 앞으로 O년 뒤”
(MHN 애리조나(美) 이상희 기자) 한국프로야구(KBO)리그와 팬들에 대한 애정이 이 정도일 줄을 몰랐다. 전 SK(현 SSG) 투수 메릴 켈리가 “한국에서 다시 던지고 싶은 계획이 있다”는 속내를 털어놨다.
켈리는 지난 주말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체이스 필드에서 진행된 MHN과 인터뷰에서 “나뿐만 아니라 우리 와이프도 한국에서의 생활에 대해 여전히 이야기 할 정도로 한국은 내 인생에서 켤코 지울 수 없는 최고의 시간 중에 하나였다”고 과거를 회상했다.
그는 이어 “이따금 와이프에게 ‘다시 한국에 가서 던질까’라는 농담도 했다”며 “말은 그렇게 했지만 앞으로 3년 후에도 내 몸이 던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면 한국행을 시도해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켈리가 3년 이란 단서를 단 이유는 그의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과 관련이 있다.
지난 2015년 SK 유니폼을 입고 KBO 무대에 데뷔했던 켈리는 한국에서 4시즌 동안 뛰며 통산 48승 32패 평균자책점 3.86의 호투를 펼쳤다. 특히, 2018년에는 SK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3차전에서 7이닝 2실점 호투를 펼쳐 승리투수가 됐다.
한국에서의 경력을 발판삼아 지난 2019년 현 소속팀 애리조나와 계약하며 메이저리그로 금의환향한 켈리는 이후 리그 정상급 선발투수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2023년 월드시리즈 2차전에 등판한 그는 7이닝 1실점 9탈삼진 무볼넷 완벽투로 승리투수가 됐다. 월드시리즈와 한국시리즈에서 모두 승리한 최초의 선수가 된 것.
이런 켈리의 활약에 고무된 애리조나 구단은 지난 2022년 2년 1800만 달러의 연장계약을 안겨줬다. 그리고 당시 계약의 조건이었던 2025년 700만 달러 팀 옵션도 실행했다. 어느새 메이저리그 7년차 베테랑이 된 켈리는 올 시즌이 끝나면 생애 첫 FA(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는다.
켈리는 이에 대해 “FA와 관련된 스트레스 없이 아직은 시즌이 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기쁘고 감사하다”며 “내가 관리할 수 없는 것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편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만 집중해서 최선을 다한다면 시즌이 끝난 뒤에 좋은 일이 생기지 않겠냐”며 사람 좋은 미소를 지었다.
올 시즌을 제외하고 앞으로 3년만 더 뛰면 켈리는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 최고치인 10년을 채우게 된다. 이는 모든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이구동성으로 달성하고 싶은 최고의 목표이다. 켈리가 한국으로의 유턴 계획에 ‘3년’이란 단서를 둔 배경이기도 하다.
켈리는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 10년이 주는 의미는 선수들에게 실로 대단한 것이다”라며 “이는 내가 빅리그에서 그 힘든 경쟁을 뚫고 끝까지 살아남았다는 자기만족이자 훈장과 같은 의미”라고 정의했다.
켈리는 이어 “3년 뒤에 내 몸 상태가 어쩔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그 때도 내 어깨가, 내 몸이 던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면 한국에 가서 다시 던지고 싶은 계획이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3년 뒤면 켈리의 나이는 만 40세가 된다. 과거 같으면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지금은 다르다. KBO에도 SSG 노경은과 두산 고효준처럼 40이 넘은 나이에도 경쟁력을 갖고 현역으로 뛰는 투수들이 있다.
메이저리그에도 노장투수들이 꽤 있다. 샌프란시스코 이정후의 팀 동료 저스틴 벌렌더는 올해 42세다. 41세가 된 맥스 슈어저도 있다. 여기에 최근 켄자스시티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은 45세 리치 힐도 있다.
켈리는 23일(한국시간) 기준 올 시즌 총 10경기에 선발 등판해 5승 2패 평균자책점 3.26의 호투를 펼치고 있다. 지금의 페이스를 시즌 끝까지 이어갈 수 있다면 올 겨울 FA 시장에서 2~3년 계약은 충분히 따낼 수 있을 전망이다. 그렇게 된다면 켈리가 한국무대에서 다시 던지는 것도 단순한 꿈이 아닌 현실이 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게 된다.
사진=메릴 켈리©MHN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