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 탄핵 국면에도 여야 지지율 회귀…민심은 여전히 ‘혼전’
탄핵 정국 속 양당 지지율 회복...민생·경제 해결책 마련 시급 여론 분열 심화, 헌재 심판과 정치적 타협이 국정 정상화 관건
(MHN스포츠 주진노 기자) 한국갤럽이 1월 7~9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6%, 국민의힘 34%, 무당층 19%, 조국혁신당 5%, 개혁신당 2% 순으로 나타났다.지난달 한덕수 총리에 대한 추가 탄핵소추안 가결 등 일련의 정국 격변 이후 한때 민주당 지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3주 만에 국민의힘과의 격차가 오차 범위 이내로 축소되어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보수층 73%가 국민의힘, 진보층 73%가 민주당 지지
• 중도층에서는 민주당 35%, 국민의힘 24%, 무당층 29%로 나타나, 민주당 우세지만 이전주 대비 격차 줄어
조사 기관은 이번 결과에 대해 “탄핵안 가결 직후 중도·진보층 중심으로 제1야당에 대한 지지세가 높아졌지만, 대치 국면이 길어지며 기대감이 일부 사그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이재명 32%로 선두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자유응답)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8%),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6%), 홍준표 대구시장(5%) 순이다.
• 여권에서는 김문수가 20%로 가장 앞서, 한동훈·홍준표·오세훈(각 10% 안팎)이 그 뒤를 잇는 모양새
• 야권 지지층 대다수(75%)가 이재명을 선호
특히 한때 20%대를 넘보았던 한동훈 전 대표의 선호도가 탄핵안 가결 이후 한 자릿수로 내려앉은 가운데, 김문수 장관이 보수 지지층에서 상승세를 보인 점이 눈길을 끈다.
최상목 권한대행, ‘잘한다’ 31% vs. ‘잘못한다’ 56%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안이 차례로 가결되면서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은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맡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최상목 부총리의 국정 수행에 대해 31%가 ‘잘하고 있다’, 56%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국민의힘 지지층 절반(50%)이 긍정, 민주당 지지층 80% 이상이 부정
• 다른 응답자 특성에서도 부정 평가는 대체로 50%를 웃도는 수준
과거 2017년 황교안 국무총리 대행(당시 3344% 긍정, 4757% 부정) 수준과 유사하거나 소폭 낮은 편이라는 평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 64% vs. 반대 32%
가결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에 대한 찬반 여부를 묻자, 찬성 64%, 반대 32%로 집계됐다. 지난달 탄핵소추 직전(찬성 75% vs. 반대 21%)과 비교하면, 찬성 의견이 11%포인트 줄고 반대가 그만큼 늘어 탄핵에 대한 일부 여론 이탈이 감지됐다.
• 진보층 찬성률 여전히 96%로 견고
• 중도층 찬성은 지난달 83%에서 70%로 감소, 보수층도 46%→33%로 탄핵 반대 증가
• 20~50대 찬성 70%대, 60대 양분, 70대 이상은 반대 우세
전문가들은 “탄핵 이후 현실 정치에서 발생하는 혼란과 갈등이 중도·보수층 일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주요 기관 신뢰도, 헌법재판소·선관위 높고 검찰·공수처 낮아
탄핵 심판과 비상계엄 관련 수사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6개 기관)에서,
• 헌법재판소는 신뢰 57%, 불신 31%
• 경찰 신뢰 47%, 불신 44%
• 법원 신뢰 46%, 불신 44%
• 검찰은 신뢰 22%, 불신 69%
• 공수처 신뢰 15%, 불신 74%
탄핵 찬성층은 헌재(76%)·선관위(72%)를 특히 신뢰하는 반면, 탄핵 반대층은 선관위를 81%가 불신하고 헌재·법원·경찰 등에도 전반적으로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드러난 민심은 탄핵 정국이 지속되면서 양대 정당의 지지율은 일정 수준 되돌아왔으나, 대통령 탄핵 및 권한대행 체제에 대한 불신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처럼 여당 분열이나 극적 지지율 급변은 없었지만, 수사 및 체포영장 불발, 탄핵 심리 지연 등으로 인한 국정 공백이 계속되고 있어 ‘국론 분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은 헌재 탄핵 심판과 후속 조치를 둘러싸고 더욱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중도층 이탈을 막고 경제·민생 안정에 집중할 해법을 마련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국회와 정부가 원만한 출구를 찾지 못하면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어, 여야 간 정치적 타협과 책임 있는 공감대 형성이 절실해 보인다.
조사 개요
• 조사기간: 2025년 1월 7~9일
•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
• 응답률: 16.3%(총통화 6,168명 중 1,004명 응답)
• 조사방법: 무선전화 가상번호(전화조사원 인터뷰)
•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
• 의뢰처: 한국갤럽 자체 조사
한국갤럽 데일리 오피니언 제608호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