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중국 관세 60% 공언에도 실제 평균 20% 전망
골드만삭스 “일부 품목만 60% 가능…중국 경제 성장률 0.7% 감소 예상”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산 수입품에 평균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으나, 실제 관세율은 평균 20%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10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발언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 정책이 태양광 패널, 철강, 알루미늄과 같은 일부 품목에 한해 60% 수준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크며, 대부분의 품목에는 평균 20%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관세율 제한의 이유로 중국이 트럼프의 복귀에 대비해 다수의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는 점을 꼽으며, “수출 통제, 미국 국채 매각, 중국 내 미국 기업 규제 강화 등이 주요 대응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 12월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에 맞서 갈륨, 게르마늄 등 핵심 광물의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미중 무역 갈등이 전 세계 경제에 미칠 여파를 경고하며, 트럼프가 중국산 제품에 평균 2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GDP가 약 0.7%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가 공언한 60% 관세는 태양광 패널, 철강, 알루미늄과 같은 일부 품목에 한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관세 인상은 자본재와 중간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미국 소비자와 중국 경제 모두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는 잠재적 무역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