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삼성 반도체 보조금 6조9천억원 확정…계획보다 26% 감액
투자 축소와 정권 교체 변수…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조성은 지속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가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첨단 반도체 공장에 지원할 보조금을 6조9000억 원 규모로 확정했으며, 이는 당초 발표했던 금액보다 약 26% 줄어든 수준이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예비거래각서(PMT)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를 통해 삼성전자에 47억4500만 달러(약 6조9000억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370억 달러(약 53조6000억 원)를 투자해 텍사스주에 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인공지능(AI) 및 국가 안보와 관련된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와 수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 보조금 결정은 지난 4월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와 체결했던 예비거래각서에서 약속한 보조금 64억 달러(약 9조2000억 원)보다 크게 줄어든 결과다. 당시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를 투자해 공장 규모를 확장하고 오는 2030년까지 총 44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지만, 최종적으로 투자 규모를 370억 달러로 낮췄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투자 효율성을 위해 중장기 계획이 조정된 것이 보조금 감액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정권 교체를 앞둔 미국 내 정치적 변수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둔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법에 따른 39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 배분을 서둘러 집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기업의 보조금이 원안보다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상무부는 삼성전자 외에도 인텔(78억6500만 달러), TSMC(66억 달러), 마이크론(61억6500만 달러) 등 주요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삼성의 투자 대비 보조금 비율(12.8%)은 경쟁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보조금 감액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신규 반도체 공장 및 첨단 연구개발(R&D) 시설을 추가 건설할 예정이며, 국내에서는 경기도 기흥과 평택 등지의 첨단 생산 시설과 연구소에 총 20조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특히 내년 중순 가동 예정인 기흥 NRD-K 연구소를 통해 메모리, 시스템, 파운드리 등 전 분야에서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이번 보조금 조정으로 삼성전자의 대미 투자가 일부 축소되었지만,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조성 및 기술 경쟁력 강화는 계속될 전망이다. 2030년부터는 용인 국가산단에서 첨단 시스템 반도체 라인을 본격 가동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