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양자컴퓨터로 10’자’년 걸릴 문제 5분 만에 해결

자체 개발한 ‘윌로우’ 칩으로 오류 감소 및 실시간 수정 기술 확보

2024-12-10     박서인 인턴기자
구글 개발 AI, '제미나이'.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구글이 슈퍼컴퓨터가 10셉틸리언(10의 24제곱) 걸리는 문제를 단 5분 만에 해결 가능한 양자컴퓨터를 개발하며 성능 실험에서 획기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구글은 9일(현지시간) 자체 개발한 양자 칩 ‘윌로우’(Willow)를 장착한 양자컴퓨터가 현존하는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인 프론티어를 능가했다고 밝혔다. ‘윌로우’ 칩은 105개의 큐비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큐비트 간 연결을 통해 오류를 줄이는 기술을 구현했으며, 이로 인해 큐비트 수가 늘어나도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성능 실험에서 구글의 양자컴퓨터는 10의 24제곱 년, 즉 10셉틸리언년에 달하는 계산 작업을 단 5분 만에 처리했지만, 이는 테스트 알고리즘을 사용한 결과로 실제 사례는 아니었다. 구글은 내년부터 실제 문제 해결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가 처리하는 0과 1의 이진법 대신 0과 1을 동시에 계산할 수 있는 큐비트를 기반으로 정보를 처리한다. 그러나 큐비트의 오류 발생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으며, 구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오류율을 낮추고 실시간 수정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양자컴퓨터의 실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구글은 오류 누적 문제를 해결하며 ‘임계값 이하’로 오류를 억제한 첫 양자 시스템을 구축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를 양자컴퓨터 실용화의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했으며, 뉴욕타임스는 양자컴퓨터 기술이 과학적 기대에 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도했다.

구글은 오는 2025년 고전적 컴퓨터로는 해결할 수 없는 실질적 문제를 양자컴퓨터로 해결하는 목표를 제시하며, 향후 양자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사진=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