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윤 대통령 사실상 직무배제...국무총리가 당과 협의해 국정 운영할 것"
(MHN스포츠 권수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이 사실상 직무에서 배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대표는 7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투표 불성립으로 폐기된 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국민의힘은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있는 퇴진을 추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이미 대통령은 자신의 임기에 대한 당의 결정을 따르겠다고 한 바 있으니 혼란은 없을 것"이라며 이와 같이 말했다.
같은 날 본회의에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상정됐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우선 상정된 김 여사 특검법 투표 후 퇴장했다. 이는 탄핵소추안에 대한 당내 이탈표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국민의힘은 본회의 개원 전 탄핵안과 특검법을 모두 반대하기로 당론을 삼았다고 밝혔다.
과반수 참석과 3분의 2 찬성만 있으면 가결되는 특검법과는 다르게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재적의원 3분의2 참석과 찬성이 필요하다. 이날 본회의에서 재표결한 김 여사 특검법은 찬성 198표, 반대 102표로 최종 폐기됐다.
대통령 탄핵안 또한 의결 정족수인 200명을 채우지 못해 폐기됐다. 이날 탄핵안 상정 후 본회의장에 남아있거나 투표한 의원 수는 195명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무산 후 한 대표는 "대통령 퇴진시까지 대통령은 대통령은 사실상 직무배제가 될 것"이라며 "국무총리가 당과 협의해 국정 운영을 차질 없이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표는 "계엄 선포 이후 오늘까지의 상황에 대해 여당 대표로서 국민들께 대단히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아울러 "계엄 선포 사태는 명백하고 심각한 위헌, 위법 사태였다. 그 계엄을 막으려 제가 제일 먼저 나섰던 것이고 관련 군 관계자들을 배제하게 했던 것"이라며 "대통령으로 하여금 임기 등 거취를 당에 일임하게 해 사실상 퇴진 약속을 받아냈던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임시회 회기를 일주일 단위로 끊어가며 국회 본회의에서 계속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재발의를 이어가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고 전했다.
사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