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비상계엄, 심각한 오판”…美 국무부, 한미동맹 흔들릴까 우려
미국 고위 인사들 강도 높은 비판…한국 민주주의 회복력에 신뢰 표명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심각한 오판”이라며 강한 비판과 우려를 표명하며, 한미 간 주요 안보 협력 일정이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미국 국무부의 커트 캠벨 부장관은 지난 3일 계엄 선포를 “TV를 보고 알았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아스펜전략포럼이 개최한 행사에서 나온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 심한 오판을 했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예측할 수 없었다”고 덧붙이며, 사전에 공유되지 않은 결정이 동맹 관계에 불신을 초래했다고 언급했다. 미국 언론은 이번 사태가 바이든 대통령의 민주주의 연대 전략에 부합하지 않으며, 한미일 공조 체제에도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로이더 통신이 5일(헌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방부는 로이드 오스틴 장관의 방한과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등 중요한 일정들을 무기한 연기하며, 이번 사태가 한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했다. 미국 고위 인사들은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력에 신뢰를 표하면서도, 이번 계엄 사태가 동맹 관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았다.
한편, 5일 브리핑에서 국무부의 베단트 파텔 부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탄핵 절차에 대해 “한국 헌법에 따른 문제”라며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으나, “한국 민주주의와 법치가 동맹의 근본 기둥”임을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계엄 사태에 "심한 오판” 등의 수위 높은 언급을 통해 윤 대통령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같은 브리핑에서 "이 관계, 이 동맹, 우리가 한국과 맺고 있는 파트너십은 태평양 양쪽(한미) 특정 대통령이나 정부를 초월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보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여부와 관계없이 한미동맹은 여전히 변함없음을 확인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