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신형 중거리 미사일 사용…"어떤 반대도 두렵지 않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극초음속 탄도미사일 사용…서방 국가 긴장 고조

2024-11-22     박서인 인턴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MHN스포츠 박서인 인턴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의 우크라이나 지원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가 21일(현지시간) 새벽 드니프로 지역을 공격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같은날 크렘린궁에서 진행된 대국민 연설을 통해 자국의 군사 기술력을 강조하며, '오레쉬니크'(Oreshnik)라는 명칭의 새로운 극초음속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 미사일(IRBM)이 요격을 피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을 탑재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 등의 방어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반길주 국립외교원 조교수는 22일 ‘이동재의 뉴스캐비닛’를 통해 국제사회는 ICBM을 핵 대결을 하는 ‘끝판왕 무기’라고 인식하므로, 러시아가 수위를 낮추기 위해 IRBM을 주장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극초음속 IRBM이기 때문에 ICBM을 능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주장하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 연설에서 서방의 무기 지원과 경제 제재가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러한 조치에 대한 강경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적에게서 어떠한 반대가 있어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라 경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매체들은 러시아의 발표가 실질적인 군사적 성공보다는 심리전을 염두에 둔 과장된 메시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 군사매체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러시아가 ‘오레쉬니크’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은 새로운 미사일을 개발했다는 인상을 주며 위협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분석했다.

일부 군사 전문가들은 푸틴 대통령이 언급한 ‘오레쉬니크’라는 신형 미사일이 실제로는 과거 RS-26 루베즈 미사일 프로젝트의 연장선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며, 새로운 무기로 포장해 서방을 위협하려는 전략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주장은 러시아가 실제로 신형 미사일을 개발했다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같은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도 푸틴의 표적이 될 수 있다며 국제사회의 대응도 촉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대응해야 한다"며 "러시아의 행동에 대한 강한 대응이 없다는 것은 그런 행동이 용인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 =EPA/크렘린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