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중앙亞 5개국 대표 접견..."러-北 도전에 함께 대응해야"
尹, "北 특수부대 파병은 위험-전례없는 일"
(MHN스포츠 이준 기자) 지난 6월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에 나선 바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제17차 한·중앙아시아 협력 포럼'을 앞둔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대표단 수석대표를 만나 한·중아시아 관계 발전 및 북한의 러시아 파병 등 국제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지난 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5개국 수석대표를 만나 "중앙아시아가 우리에게 경제, 외교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자, 우리와의 문화적 유사성으로 인해 한국인들이 친근하게 느끼는 특별한 지역"이라고 했다.
이어 "풍부한 광물자원과 우수한 인력 기반을 가진 중앙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과 기업들의 관심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주용성을 중시해 지난 6월 중앙아시아 순방 순방과 함께 한·중앙아시아 관계의 획기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대한민국 최초의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전략인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내년에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를 처음으로 한국에서 개최할 예정"이라면서 "한·중앙아시아 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5개국 수석대표들은 "이번 한-중앙아시아 협력 포럼이 공급망, 환경 및 기후변화, 디지털, 관광 등 포괄적인 분야에서 양 지역의 호혜적인 협력을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K-실크로드' 구상에 기반한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미래 지향적 파트너십을 적극 지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수석대표들과 함께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 군사협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군사무기 이전을 넘어 특수부대 파병이라는 위험하고 전례 없는 일을 벌이고 있다면서, 국제사회가 연대해 전 세계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러북의 도전에 함께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오랫동안 러시아 및 북한과 소통 채널을 유지해 온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러북 간 군사협력을 저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수석대표들은 "국제법과 UN헌장이 준수되고 모든 국가의 독립과 영토주권이 존중되어야"한다면서 "모든 파트너국들의 대화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한국을 방문한 수석대표들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주최한 '제17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을 참석해 그간의 협력 현황과 향후 협력 증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사진=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