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러 불법 야합으로 고조된 국제 정세...좌시않는 尹 정부 [쮼 취재수첩]

기정사실화된 '북 러 파병' 세계 대전 우려 목소리 나와 '직접 타격' 주장한 바이든 무기 지원 고려하는 尹 정부 31일 韓·美 안보현안회의

2024-10-30     이준 기자

'쮼 취재수첩'은 이준 기자가 준비한 뉴스 콘텐츠로 근래 연이어 화두에 오르는 정치계 주제를 다룹니다.

(왼쪽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MHN스포츠 이준 기자)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을 러시아 측으로 파병을 보냈다는 것이 기정사실화 되면서, 북한·러시아에 대한 미국 중심의 서방 세력을 비롯한 한국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에 진입한다면 우크라이나의 타격 대상이라고 주장했으며, 윤석열 정부 또한 우방국들과 소통하면서 북한의 불법 파병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며 좌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18일 국정원이 공개한 위성사진. 북한 무기를 선적한 배가 북한 나진항에서 출발해 러시아 선박에 도착했다.  

30일 MHN스포츠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18일 북한이 러시아에 특수부대 등을 파병했다는 정황이 한국 국정원과 여러 매체 등을 통해 공개됐다.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같은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에서 "세계대전으로 향하는 첫 단계"라고 주장했다.

이에 러시아는 "가짜 뉴스"라며 일축했으며, 북한 역시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반박했다. 이는 국제법 위반 소지가 있는 파병을 인정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서방 세력의 경제 제재 등을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공산당' 국가의 수장인 시진핑 중국 주석 또한 북한·러시아와 '거리두기' 하고 있다는 정황이 발견됐다. 시 주석은 한국 국정원 발표에 "모든 당사국이 정세의 긴장 완화와 정치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길 희망한다"며 선을 그었다.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은 같은날 북한의 파병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을 방치하지 않고, 국제 사회와 협력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22일 신원식 안보실장은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 회의를 주재해 대응 방안을 논의 했다.

김 차장은 "러북 군사협력에 대한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가 이행되도록 동맹 및 우방국들과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라며 "러북 군사협력이 우리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에 대비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상응하는 조치들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고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전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방어용 무기 지원과 공격용 무기지원 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취지로 경고하기도 했다.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북한군의 파병 정황이 연이어 공개되면서 국제 안보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되자 윤 대통령은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 군사 야합은 국제사회에 대한 중요한 안보 위협이면서 우리 안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엄중한 사안"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철저히 점검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같은날 윤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우리 정부는 우리의 안보를 위협하는 러·북의 군사적 야합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전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실효적인 단계적 대응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감사를 표하며 "이러한 위협에 대응에 우방국들과의 공조를 이어갈 것이다. 한국과도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한미 국방장관은 오는 30일(현지시간) 제56차 한미안보현의회의를 워싱턴 D.C.에서 개최한다. 이날 회의에서 양국은 ▲북한군 러시아 파병 등 최근 한반도 안보정세 평가 및 대북정책 공조 ▲한미 일체형 확장억제 ▲국방과학기술 및 방산협력 ▲한미일 안보협력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협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진=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국정원, 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