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 진료 14만'...尹 대통령 "제주에 상급종합병원 지정하자"

제주 내 상급종합병원 '0개' 의료 수요는 늘어...인프라는 부족 尹 "국가 재정 투입해주자"

2024-10-15     이준 기자
15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MHN스포츠 이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제주도에 상급종합병원이 조속히 지정될 수 있도록 지역 특성을 감안한 진료권역 재설정 등 제도 개선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15일 윤 대통령은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센터에서 '세계로 열린 청정한 섬, 글로벌 휴양도시 제주'를 주제로 열린 스물아홉 번째 민생토론회에서 "제주도의 의료수요가 늘고 있는 데 반해 상급종합병원이 없고, 의사 수가 적어 지역의료 인프라가 부족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중증 환자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제주대 병원, 서귀포의료원이 기능 확충을 차질 없이 지원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실질적인 제주도민들의 정주 여건과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제주도의 의료 환경부터 확실하게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급종합병원 제도는 지난 2011년 당시 이명박 정권 때 도입됐다. 경증 환자를 1·2차 의료기관에 보내고, 중증 환자를 상급종합병원으로 집중시켜 의료 효율을 늘리겠다는 취지다. 정부의 제도에 따라 상급종합병원에는 중증 환자를 다룰 수 있는 의사들이 상대적으로 다수 포진해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23년 12월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은 총 47곳으로 지정되었으나, 절반 가량이 서울(14개)과 수도권(경기 서북구권 4개, 경기 남부권 5개)에 집중됐으며, 제주도에는 하나도 없었다.

제도상 제주도가 서울권에 묶여 제주 병원은 서울 병원과의 경쟁을 치뤄야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권에는 일명 '빅5' 병원과 대형 병원 등이 모여있어 상대적으로 자원이 적게 투입되는 제주도내 병원은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증 환자들은 서울로 '원정 진료'를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제주에서 원정 진료를 떠난 환자는 14만 명 이상으로 추산됐다.  

한편, 이날 윤 대통령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수도권 기준으로 하면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안 되니까 무조건 하나 지정을 하고, 상급종합병원에 필요한 의료 시설이나 의료 장비 확충은 국가에서 재정으로 해주자"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