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위 "젊은 과학자들의 도전 장려하는 획기적인 지원 필요해"

'과학기술과의 동행' 특별위원회 성과보고 및 제안 발표

2024-08-14     이윤비 기자

(MHN스포츠 이윤비 기자) 국민통합위원회가 젊은 과학자들의 도전을 장려하기 위해 지원에 나섰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위원장 김한길, 이하 통합위)은 14일 오전,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과학기술과의 동행' 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정책제안 발표 및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젊은 과학자의 안정적 연구활동 지원, R&D 성과제고를 위한 거버넌스 혁신 등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으며, 부처협의 등을 거쳐 보완 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민간을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 대표적 기관·단체들이 참석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대응을 위해서 선도적 R&D로의 전환과 R&D 성과 제고를 위한 혁신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통합위는 전했다.

통합위에 따르면 보고회에는 이우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박상욱 과학기술수석비서관, 김명자 KAIST 이사장, 이태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통합위는 "지난 3월 출범 후 과학기술인들이 자긍심을 갖고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해 왔다"며, "젊은 과학자의 안정적 연구활동 지원, 선진적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 우수·글로벌 인력 영입 및 교류 활성화, R&D 투자 성과제고를 위한 거버넌스 혁신이라는 4가지 분야에 중점을 두고 정책제안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특위는 먼저 자기 책임하에 연구 전 과정을 이끌 수 있는 프로그램 신설, 연구생활 보장을 위한 연구생활장려금 확대, 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의 고용 안정을 위한 연구원 지위 법제화 등을 제안했다.

이는 R&D 예산 구조조정 과정에서 주된 어려움을 겪은 젋은 과학자들이 마음놓고 연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특위는 설명했다.

또한 스타트업의 기술적 과제를 연구자와 공동 해결하는 산학 매칭플랫폼 구축, 연구자 인권을 위한 체계적 실태조사 및 예방·대응책 마련, 기초연구 예산의 안정적 확보 등 선진적 연구개발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도개선을 제시했다.

이어 우수 인재의 유입과 활용 활성화를 위해 해외 우수 인재 영입을 위한 연구비 지원 및 영주·귀화 패스트트랙 요건 확대, 대학·연구소와 첨단 기업 간 인력교류 활성화를 위한 보수·임용조건 특례와 겸직 등 폭넓은 외부활동 허용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민간 전문가(PM)에게 도전적 연구에 필요한 기획·평가·관리 권한을 대폭 위임하는 등 R&D 관리시스템 개선과 부처간 칸막이를 넘어 과학기술 인재양성 정책·통계를 실질적으로 총괄·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설립 등 R&D 거버넌스 혁신을 제안했다.

김명자 국민통합위원회 고문(현 KAIST 이사장)은 "한국의 초고속 성장을 이끈 과학기술 투자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재양성 시스템 혁신, R&D투자 효율성과 사업화 제고, 과학기술 사회에 걸맞은 융합과 소통의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이우일 부의장은 "선도형 R&D로 거듭나기 위한 과감한 체질개선과 R&D 투자시스템 혁신만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통합위는 과학기술인 여러분들이 자부심을 갖고 열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자 노력해 왔다"면서, "오늘 행사가 과학기술인들의 의견을 모아 과학기술 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도약을 다짐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사진=국민통합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