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파리] "부상"으로 운 뗐는데...'쩐의 전쟁'으로 번진 안세영 폭로전

2024-08-13     권수연 기자
배드민턴 대표팀 안세영

(MHN스포츠 권수연 기자) "제 부상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제 부상을 안일하게 생각한 대표팀에 많은 실망을 했다"

한국 배드민턴에 28년 만에 금메달을 가져온 후, 대한배드민턴협회를 향한 작심발언 한 마디로 순식간에 분위기를 바꾼 안세영(삼성생명)의 발언이다. 

안세영은 지난 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배드민턴 단식 결승에서 허빙자오(중국)를 꺾고 금메달을 가져왔다. 이는 1996 애틀랜타 대회 방수현 우승 이후 28년 만에 돌아온 여자 단식 금메달이었다. 

그러나 영광은 길지 않았다. 전 세계 취재진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한 몸에 받게 된 안세영이 '작심 발언'을 던졌기 때문이다.

배드민턴 대표팀 안세영

당시 안세영은 "제 부상을 안일하게 여긴 대표팀에 많이 실망했다"며 "지금 이 순간을 끝으로 대표팀과는 계속 가기 힘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는 발언을 던져 국내 체육계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안세영은 지난해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결승전 당시 무릎 부상을 당했고, 해당 부위가 완치되지 않은 상태로 각종 국제대회에 출전해왔다. 

해당 발언으로 인해 안세영이 대표팀 은퇴를 암시한다거나, 배드민턴협회의 부조리한 행정을 낱낱이 폭로하는 것, 법정 싸움으로 갈 것이라는 추측이 난무했다. 하지만 안세영은 SNS를 통해 은퇴에 대해서는 뚜렷이 부정했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는 배드민턴 대표팀 안세영

언론을 비롯해 누리꾼들은 배드민턴협회를 크게 조명했다. 특히 임원진이 타 협회에 비해 유달리 많은 40여명이라는 사실, 그럼에도 기부금은 0원에 달한다는 점, 과거 항공편을 이용할 때 선수들을 이코노미석에 태우고 임원진이 비즈니스석에 탔다는 사실 등을 집중 타격했다. 

배드민턴협회는 이후 장문의 해명문을 통해 안세영의 부상을 방치하지 않았으며 선수 요청에 따라 1,500만원 가량의 경비를 들여 프랑스까지 한의사를 불러줬고, 또 선수가 부상이 있어도 자의로 대회에 출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거꾸로 상위랭커가 참가하지 않을 시 페널티가 주어지는 국제 대회 등을 협회 측이 안세영의 의사를 묻지 않고 명단에서 제외시킨 사실 등이 드러나며 또 한번 비판에 직면했다. 

배드민턴 대표팀 안세영
대한배드민턴협회장 김택규

이처럼 당초 대중은 배드민턴협회의 비상식적인 행정 처리 과정, 가분수 형태의 조직도, 선수단 운영의 투명성 등에 대해 의혹을 품었고 또 분노했다. 안세영이 가장 먼저 '부상'과 이에 대한 협회 측의 대처로 입을 연 이유도 부조리한 내부 행정을 폭로하기 위한 것이라 여겼다. 

그런데 6일만에 다시 입장을 전한 안세영은 예상을 깨고 "경제적인 보상"을 이야기했다. 

그는 지난 11일 인터뷰를 통해 "광고가 아니라도 배드민턴으로도 경제적인 보상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스폰서나 계약적인 부분을 막지 말고 많이 풀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장 먼저 언급했던 부상관리에 대한 부분과 선수단 운영 등에 대한 이야기는 빠져있었다. 

배드민턴 대표팀 안세영

그러자 핸들이 급격하게 꺾여 '돈 싸움'으로 번졌다. 안세영의 연봉은 현재 6,000만 원으로 추정되며, 각종 국제대회 상금까지 합쳐 지난해 최고 9억원 가량을 벌었다는 사실 등이 새롭게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국실업배드민턴연맹 규정에 따르면 입단 첫 해 연봉은 대졸 선수 기준 6,000만원, 고졸 선수는 5,000만원이 상한액이다. 이후 3년 차까지 연간 7% 이상 올릴 수 없다. 이에 따라 안세영은 입단 첫 해 최고 5,000만원을 받고 연간 7% 상승폭 이내에서 연봉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중의 반응은 급격히 갈리기 시작했다. 애초 협회의 미온적인 대처를 지적하며 운을 뗐기에 부조리함을 들추길 바랐던 일부 팬들은 실망감과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한 팬은 "결국 돈 때문이냐. 스폰서 요구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협회에 부당 대우를 받았다는 부분부터 해명하라"고 지적했다. 이에 반론하는 쪽에서는 "안세영이 당장 혼자 돈을 벌겠다는게 아니라 협회 차원에서 개인 스폰서를 왜 막느냐가 문제다. 협회 자금 사용 내역이나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원점으로 돌아가 부상 방임과 협회를 저격한 첫 매듭이 풀리지 않으면 경제적 보상 요구조차 설득력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 됐다.

이 가운데 실업배드민턴연맹은 신인선수 계약금 및 연봉 상한제 완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맹은 계약기간(대졸 5년, 고졸 7년)을 단축하고 계약금과 연봉 상한액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해 내년에 시행할 방침이다. 연봉 인상률의 경우 숫자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과 예외 조항을 신설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사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