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네이버 CP사 담합 장벽 철폐해야...

2024-08-08     이준 기자
 국민의힘 이상휘 의원이 2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진숙) 탄핵소추안 관련 의사진행 발언 중 야당 의원들과 설전을 벌이고 있다. 2024.8.2

 

(MHN스포츠 이준 기자)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위원장 이상휘)는 오늘 성명을 통해 네이버의 뉴스 제휴평가위원회를 통한 언론사 담합 구조를 비판하며 이를 철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국민의힘은 성명서에서 네이버가 자의적으로 구성한 뉴스 제휴평가위원회를 통해 기존 거대 언론사들과 일종의 ‘담합 계약’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네이버는 특정 언론사들에게 네이버뉴스 플랫폼의 다양한 권한을 부여해 '가두리 양식'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현재 네이버의 뉴스 플랫폼에 참여한 70여개의 언론사들은 이러한 권한을 통해 기업들의 광고와 협찬을 독점하며, 네이버는 이들 언론사에게 댓글 작성, 기자 및 언론사 구독 기능, 랭킹뉴스 접근권, 알고리즘 추천 및 클러스터링에 있어서 우선적 접근권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네이버가 이러한 행태를 통해 대한민국의 어젠다 세팅을 주도하며 미디어 권력을 행사하고, 이를 통해 빅테크 검색시장에서의 독점력을 강화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네이버의 CP 선정이 좌편향된 정치적 지형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초기부터 민노총 언론노조와 언론노조 MBC 본부가 대주주인 '미디어오늘'이 CP사로 자리잡았고, KBS와 MBC 언론노조 해직자들이 주축이 되어 만든 '뉴스타파', 그리고 민노총 언론노조 회원이 대부분인 기자협회의 기관지 '기자협회보'도 CP사로 등재되었다. 또한, 좌편향 인터넷 매체인 '프레시안'과 좌편향 미디어 게릴라를 지향해 설립된 '오마이뉴스'도 CP사로 활동하고 있는 반면, 보수우파 성향 매체로 분류될 만한 인터넷 매체는 '데일리안'이 유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미국에서 구글이 검색엔진 시장에서 반독점법을 위반한 판결을 언급하며, 네이버의 뉴스검색 엔진 영업 방식도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은 네이버의 온라인 미디어 생태계 독점과 좌편향 미디어 제국 건설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네이버의 뉴스 독점 장벽을 무너뜨리고 국내 미디어 생태계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